닫기

강의계획서

전공과목안내

전공과목안내
과정명 아동관찰및행동연구(대면)-(서울) 지도교수 박지은
수업방식 이론중심 학점 3학점
학습기간 2024-09-11 ~ 2024-12-24(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2025-01-08 성적보고 완료일 2025-01-14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2025.01.13. 10:00 ~ 2025.01.30. 16:00 학위취득 2025년 2월 전기

성적 산출 기준

성적 산출 기준표
중간 기말 과제 토론 쪽지 참여 출석
30점 30점 10점 5점 5점 5점 15점
  1. [과목 미수료 기준]
    • 출석률 80% 미만
    • 정기시험(중간고사/기말고사)을 모두 미응시
    • 상대평가 환산점수 60점 미만
    • ※ 단, 수강인원이 10명 미만인 학습과정 및 실습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평가를 아니할 수 있음

  2. [유의사항]
    • 시험 대체 수단 없음
    • 시험응시기회 1회
    • 출결에 관한 지각처리 없음

  3. [공동 인증서 로그인 필요]
    • 내 강의실 이용시 개인정보 보호와 ID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요

  4. 상대평가 시행안내
    • 국가평생교육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 2016.1.6일 제정 및 2016년 1월1일 시행)의 변경에 따라
      2016년도 1학기 과정부터 성적 평가가 기존의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전환되게 되었습니다.

    • 에듀업원격평생교육원에서는 A등급 20% ~ 30%, B등급 30% ~ 40%, C등급이하 30% ~ 50%의 범위로 점수를 배정하려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 상대평가 시행안내 바로가기

관련전공소개

관련전공소개
학사 아동학 전공
전문학사 아동ㆍ가족 전공

수업개요

아동관찰과 행동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이해하며, 영유아의 행동을 관찰하고 연구하기 위한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보육현장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영역별 실제를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영유아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수업목표

1.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이해를 바탕으로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2. 영유아 관찰 절차 및 과정에서의 유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3. 체계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찰 기록 방법들을 활용할 수 있다.

4. 관찰 기록 유형을 분석하여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5. 영유아 행동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아동의 발달 및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6.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를 통한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성적분포

성적분포
A등급 B등급 C등급 이하
20% ~ 30% 30% ~ 40% 30% ~ 50%

평가기간

평가기간
구분 평가기간 비고
중간고사 2024-11-01 오전 10:00
~
2024-11-04 오후 10:00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기말고사 2024-12-20 오전 10:00
~
2024-12-23 오후 10:00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과제 2024-10-09 - 2024-11-12
(AM 10:00 – PM 22:00)
토론 2024-12-06 - 2024-12-09
(AM 10:00 – PM 22:00)
쪽지 2024-11-22 - 2024-11-25
(AM 10:00 – PM 22:00)
참여 나의학습계획 2024-09-11 - 2024-10-01
(AM 10:00 – PM 22:00)
소개서/중간평가 2024-11-06 - 2024-11-19
(AM 10:00 – PM 22:00)

과제

※ 아래 과제 주제는 변경될 수 있으며, 확정된 과제 주제 및 구체적인 내용은 [강의실 > 과제]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건표집법과 빈도 사건표집법의 특징,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 관찰법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학습목차

학습목차
주차 학습내용 학습활동
1 1차시.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기초
[강의목표]
1.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2.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3.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
2.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
3.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2차시.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윤리
[강의목표]
1. 영유아 연구의 주요 쟁점을 제시할 수 있다.
2.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영유아 연구의 당면문제와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유아 연구의 주요 쟁점
2. 연구 윤리
3. 영유아 연구의 당면문제와 개선 방향
2 1차시. 관찰의 이해
[강의목표]
1. 관찰의 개념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관찰의 유형을 비교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관찰의 개념과 특성
2. 관찰의 유형
2차시. 관찰의 절차 및 과정
[강의목표]
1. 관찰의 절차를 나열할 수 있다.
2.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을 설명할 수 있다.
3. 관찰 시 관찰자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관찰의 절차
2.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
3. 관찰자의 역할
3 1차시. 아동관찰법 - 일화기록법
[강의목표]
1. 일화기록법을 정의할 수 있다.
2. 일화기록법의 작성요령 및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3. 일화기록법을 위한 관찰의 발달적 범주를 구성할 수 있다.
4. 일화기록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일화기록법의 정의
2. 일화기록법의 작성요령 및 절차
3. 일화기록을 위한 발달적 범주
4. 일화기록법의 장점과 단점
2차시. 아동관찰법 - 사건표집법
[강의목표]
1. 서술식 사건표집법과 빈도 사건표집법을 정의할 수 있다.
2. 서술식 사건표집법과 빈도 사건표집법의 관찰 지침 및 작성 요령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3. 서술식 사건표집법과 빈도 사건표집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사건표집법의 정의와 유형
2. 사건표집법의 적용
3. 사건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4 1차시. 아동관찰법 - 시간표집법
[강의목표]
1. 시간표집법을 정의할 수 있다.
2. 시간표집법의 관찰 지침 및 작성 요령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3. 시간표집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시간표집법의 정의
2. 시간표집법의 적용
3. 시간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2차시. 아동관찰법 - 행동목록법
[강의목표]
1. 행동목록법을 정의할 수 있다.
2. 행동목록법의 관찰 지침 및 작성 요령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3. 행동목록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행동목록법의 정의
2. 행동목록법의 적용
3. 행동목록법의 장점과 단점
5 1차시. 아동관찰법 - 평정척도법
[강의목표]
1. 평정척도법을 정의할 수 있다.
2. 평정척도법의 관찰 지침 및 작성 요령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3. 평정척도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평정척도법의 정의
2. 평정척도법의 적용
3. 평정척도법의 장점과 단점
[과제 제출]
2차시. 행동연구방법 - 질문지법
[강의목표]
1. 질문지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질문지의 작성요령을 설명할 수 있다.
3. 응답 방식에 따른 질문의 유형을 구분하고 작성양식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질문지법의 특징
2. 질문지의 작성요령
3. 질문지의 작성양식
6 1차시. 행동연구방법 - 면접법
[강의목표]
1. 면접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효과적인 면접을 위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3. 면접법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면접법의 특징
2. 면접을 위한 지침
3. 면접법의 장점과 단점
2차시. 행동연구방법 - 영유아 발달검사
[강의목표]
1. 영유아 발달검사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2. 영유아 발달검사를 분류할 수 있다.
3. 영유아 발달검사 도구를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유아 발달검사의 성격
2. 영유아 발달검사의 분류
3. 영유아 발달검사의 도구
7 1차시. 행동연구방법 - 포트폴리오 I
[강의목표]
1. 포트폴리오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포트폴리오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포트폴리오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포트폴리오의 개념
2. 포트폴리오의 특성
3. 포트폴리오의 장점과 단점
2차시. 행동연구방법 - 포트폴리오 II
[강의목표]
1.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2. 포트폴리오 평가의 절차를 적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형
2. 포트폴리오 평가의 절차
8 중간고사
[정기 시험]
9 1차시. 행동연구방법 - 실험연구
[강의목표]
1. 실험연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실험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3. 실험 연구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실험연구의 특징
2. 실험 설계를 위한 지침
3. 실험연구의 장점과 단점
2차시. 행동연구방법 - 사례연구
[강의목표]
1. 사례연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례연구를 위한 절차를 제시할 수 있다.
3. 사례연구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사례연구의 특징
2. 사례연구의 절차
3. 사례연구의 장점과 단점
10 1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환경 I
[강의목표]
1. 물리적 환경 구성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실내 환경 구성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물리적 환경 구성
2. 실내 환경 구성
2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환경 II
[강의목표]
1. 실외 환경 구성원리를 설명 할 수 있다.
2. 시설 및 설비 안전의 관리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실외 환경 구성
2. 시설 및 설비 관리
11 1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영아반 일과운영
[강의목표]
1. 영아반 일과운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영아반 일과운영을 위한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아반 일과운영의 원리
2. 일과운영에서의 영아 관찰 및 방안
[쪽지시험 응시]
2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유아반 일과운영
[강의목표]
1. 유아반 일과운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유아반 일과운영을 위한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유아반 일과운영의 원리
2. 일과운영에서의 유아 관찰 및 방안
12 1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영유아 평가 I
[강의목표]
1. 영유아 평가의 방향 및 목적을 제시할 수 있다.
2. 영유아 평가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3. 영유아 평가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유아 평가의 방향 및 목적
2. 영유아 평가의 내용
3. 영유아 평가의 활용


◎ 대면수업 (4시간)
1. 강의 주제 : 현장관찰실제 1
2. 강의 내용
① 실내외 물리적 환경 관찰 및 보고서 작성
② 건강과 안전 관련 환경 관찰 및 보고서 작성
③ 흥미영역별 교재 교구 관찰및 보고서 작성
◎ 오프라인 시험 실시
오프라인 대면수업 병행, 출석 시험(1회)
2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영유아 평가 II
[강의목표]
1. 개별 영아에 대한 평가를 계획할 수 있다.
2. 개별 유아에 대한 평가를 계획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영아의 평가 계획 및 실제
2. 유아의 평가 계획 및 실제


◎ 대면수업 (4시간)
1. 강의 주제 : 현장관찰실제 2
2. 강의 내용
① 영유아반 일과 운영 관찰 및 기록 후 보고서 작성
② 영유아반 상호작용 관찰 및 기록 후 보고서 작성
◎ 오프라인 시험 실시
13 1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아동의 행동 이해
[강의목표]
1. 정상행동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에 따라 정의할 수 있다.
2. 문제행동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3. 문제행동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정상행동의 이해
2. 문제행동의 유형
3. 문제행동의 원인
[토론 제출]
2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아동의 행동 지도
[강의목표]
1. 친사회적 행동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2. 주의산만 및 과잉행동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3. 공격적·반사회적 행동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친사회적 행동 지도
2. 주의산만 및 과잉행동 지도
3. 공격적 ·반사회적 행동 지도
14 1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부모 면담 I
[강의목표]
1. 부모 면담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부모 면담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3. 부모 면담의 기본 과정을 나열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부모 면담의 필요성
2. 부모 면담의 유형
3. 부모 면담의 기본 과정
2차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 부모 면담 II
[강의목표]
1. 개별 면담의 준비 및 실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집단 면담의 준비 및 실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부모 면담 평가를 위한 점검 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개별 면담
2. 집단 면담
3. 부모 면담 평가
15 기말고사
[정기 시험]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