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가족관계론 | 지도교수 | 김순기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4-09-11 ~ 2024-12-24(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5-01-08 | 성적보고 완료일 | 2025-01-14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5.01.13. 10:00 ~ 2025.01.30. 16:00 | 학위취득 | 2025년 2월 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아동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생활교양 전공,아동ㆍ가족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4-11-01 오전 10:00 ~ 2024-11-0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4-12-20 오전 10:00 ~ 2024-12-23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4-10-09 - 2024-11-12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4-12-06 - 2024-12-09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4-11-22 - 2024-11-25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4-09-11 - 2024-10-01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4-11-06 - 2024-11-19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가족 및 가족관계의 개념
[강의 목표] 1. 가족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2. 가족과 유사한 용어의 개념을 비교할 수 있다. 3. 가족관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의 개념 2. 가족과 유사한 용어 3. 가족관계의 개념 |
[전 차시 공통 제공] * 동영상 강의 방식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 학습자료 제공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 퀴즈 제공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가족에 관한 이론적 관점
[강의 목표] 1. 가족관계학의 학문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비교할 수 있다. 3. 가족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가족관계 분석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관계학의 학문적 특성 2. 가족에 관한 이론적 관점과 적용 |
||
2 |
1차시. 가족의 특성(1) - 집단적 특성, 기능, 유형
[강의 목표] 1. 가족의 집단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의 특성 2. 가족의 기능 3. 가족의 유형 |
|
2차시. 가족의 특성(2) - 가족계층, 가족가치관
[강의 목표] 1. 가족 계층의 개념과 계층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가치관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의 가치관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계층의 개념과 계층별 가족생활의 특성 2. 가족가치관의 개념과 특성 3. 가족의 가치관의 개념과 특성 |
||
3 |
1차시. 가족의 특성(3) - 가족생활주기
[강의 목표] 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과 유용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생활주기의 단계를 분류할 수 있다. 3. 현대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4. 미래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과 유용성 2. 가족생활주기의 단계 3. 현대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특성 4. 미래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변화 |
|
2차시.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강의 목표] 1. 이성교제의 일반적 성격, 기능, 단계,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배우자 선택 이론을 알고 배우자 선택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이성교제 2. 배우자 선택 이론 3. 배우자 선택 기준과 적용 |
||
4 |
1차시. 가족의 형성 (1) - 사랑
[강의 목표] 1. 사랑의 구성 요소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랑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3. 성숙한 사랑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사랑의 구성 요소와 특성 2. 사랑의 유형 3. 성숙한 사랑 |
|
2차시. 가족의 형성 (2) - 건강한 성(性)
[강의 목표] 1. 성의 특성과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신체적 성 및 사회적 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건강한 성을 자신의 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성(性)에 대한 이해 2. 신체적 성 3. 사회적 성 4. 건강한 성 |
||
5 |
1차시. 가족의 형성 (3) - 약혼과 결혼
[강의 목표] 1. 약혼의 기능과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2. 약혼 중의 문제점과 적응 방안을 분석할 수 있다. 3. 결혼의 의의와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약혼의 기능과 특징 2. 약혼 중의 문제점과 적응 방안 3. 결혼의 의의와 절차 |
[과제 제출] |
2차시. 가족 관계의 이해 (1) - 역할, 권력
[강의 목표] 1. 역할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부부 관계 및 역할의 특성과 역동을 분석할 수 있다. 3. 권력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4. 부부 권력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역할의 개념 2. 부부 관계 및 역할의 특성과 역동 3. 권력의 개념 4. 부부권력의 유형 |
||
6 |
1차시. 가족 관계의 이해 (2) - 갈등, 스트레스
[강의 목표] 1. 부부 갈등의 개념과 대처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 스트레스 이론과 대처 자원을 분석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부 갈등 2. 갈등 대처 3. 가족 스트레스 4. 스트레스 대처 |
|
2차시. 가족 관계의 이해 (3) - 부부 적응
[강의 목표] 1. 부부간의 적응 요소와 적응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2. 발달단계별 부부 적응 과제를 분석할 수 있다. 3. 결혼만족과 안정성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부 적응 2. 발달 단계별 부부 적응 3. 결혼 만족과 안정성 |
||
7 |
1차시. 가족 관계의 이해 (4) - 부부 의사소통
[강의 목표] 1. 부부 의사소통의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2. 부부 의사소통 방법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부 의사소통의 형태 2. 부부 의사소통 촉진 방안 3. 부부 의사소통 방법 |
|
2차시. 가족 관계의 이해 (5)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강의 목표]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촉진 방법을 분석할 수 있다.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기술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특성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촉진 방법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실제 |
||
8 |
중간고사
* 시험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부모-자녀관계 (1) - 부모됨, 부모의 양육행동
[강의 목표] 1. 부모됨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2. 부모의 양육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모됨 2. 부모 양육행동 |
|
2차시. 부모-자녀관계 (2) - 생애주기별 부모자녀관계
[강의 목표] 1. 생애주기별(자녀발달단계별) 부모-자녀 관계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생애주기별 부모-자녀 관계의 적응과제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애주기별 부모-자녀관계의 특징과 변화 2. 생애주기별 부모-자녀관계의 적응과제 |
||
10 |
1차시. 형제자매 관계
[강의 목표] 1. 형제자매 관계의 역할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형제자매 관계의 변화와 적응을 서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형제자매 관계의 역할과 기능 2. 형제자매 관계의 생애주기별 변화와 적응 |
|
2차시. 친족관계
[강의 목표] 1. 친족관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2. 친족관계의(고부관계, 장서관계, 조손관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친족관계의 변화 2. 친족관계의 특성 |
||
11 |
1차시. 다양한 가족 (1) - 1인 가구, 분거가족, 자발적 무자녀가족
[강의 목표] 1. 1인 가구의 실태와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2. 분거가족의 특성과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3. 자발적 무자녀 가족의 특성과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4. 미래 가족을 전망하고 적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1인 가구의 실태와 적응 2. 분거가족의 특성과 적응 3. 자발적 무자녀 가족의 특성과 적응 4. 미래 가족 전망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다양한 가족 (2) - 일가정 양립: 맞벌이 가족
[강의 목표] 1. 일(직업)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서술할 수 있다. 2. 일과 가족의 양립을 위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일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2. 일과 가족의 양립 |
||
12 |
1차시. 다양한 가족 (3) - 이혼, 재혼, 한부모가족
[강의 목표] 1. 이혼 가족의 실태와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2. 재혼 가족의 실태와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3. 한부모 가족의 실태와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이혼 가족의 실태와 적응 2. 재혼 가족의 실태와 적응 3. 한부모 가족의 실태와 적응 |
|
2차시. 다양한 가족 (4) - 다문화가족
[강의 목표] 1. 다문화 가족의 현황을 설명할 수 있다. 2. 다문화 가족의 특성과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다문화 가족의 현황 2. 다문화 가족의 특성 3. 다문화 가족의 적응 |
||
13 |
1차시.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
[강의 목표] 1. 전통 가족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현대 한국 가족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통 가족의 특성 2. 현대 가족의 변화 |
[토론 제출] |
2차시. 건강한 가족 (1) - 건강가족의 개념과 요소
[강의 목표] 1. 건강 가족의 개념과 건강한 가족의 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2. 건강한 가족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건강가족의 개념 2. 건강한 가족의 요소 3. 건강한 가족관계 |
||
14 |
1차시. 건강한 가족 (2) - 가족상담, 가족생활교육
[강의 목표] 1. 가족상담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상담을 가족관계에 적용할 수 있다. 3.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상담 2.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내용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
|
2차시. 건강한 가족 (3) - 가족문화, 가족복지
[강의 목표] 1. 가족 문화의 개념과 건전한 가족 문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미래 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문화의 개념 2. 건전한 가족 문화 3. 가족복지 |
||
15 |
기말고사
* 시험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