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강의계획서

전공과목안내

전공과목안내
과정명 가족상담및가족치료 지도교수 안성원
수업방식 이론중심 학점 3학점
학습기간 2020-11-11 ~ 2021-02-23(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2021-03-10 성적보고 완료일 2021-03-16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2021.04.01-2021.04.30 학위취득 2021년 8월 후기

성적 산출 기준

성적 산출 기준표
중간 기말 과제 토론 쪽지 참여 출석
30점 30점 10점 5점 5점 5점 15점
  1. [과목 미수료 기준]
    • 출석률 80% 미만
    • 정기시험(중간고사/기말고사)을 모두 미응시
    • 상대평가 환산점수 60점 미만
    • ※ 단, 수강인원이 10명 미만인 학습과정 및 실습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평가를 아니할 수 있음

  2. [유의사항]
    • 시험 대체 수단 없음
    • 시험응시기회 1회
    • 출결에 관한 지각처리 없음

  3. [공동 인증서 로그인 필요]
    • 내 강의실 이용시 개인정보 보호와 ID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요

  4. 상대평가 시행안내
    • 국가평생교육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 2016.1.6일 제정 및 2016년 1월1일 시행)의 변경에 따라
      2016년도 1학기 과정부터 성적 평가가 기존의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전환되게 되었습니다.

    • 에듀업원격평생교육원에서는 A등급 20% ~ 30%, B등급 30% ~ 40%, C등급이하 30% ~ 50%의 범위로 점수를 배정하려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 상대평가 시행안내 바로가기

관련전공소개

관련전공소개
학사 교양,노년학,사회복지학,상담학,아동학,청소년학
전문학사 교양,아동ㆍ가족 전공

수업개요

개인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적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 및 가족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기능 및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반이론, 이를 기초로 진행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 및 가족치료모델의 실제 등을 학습한다.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치료 및 종결의 일련의 과정들을 사례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기법을 훈련한다. 나아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가족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고,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실험할 수 있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수업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초인 가족의 개념,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 및 특성과 함께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기능,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론들과 발달과정을 이해하여 체계론적 관점에서의 가족에 대한 기초개념과 가족의 건강성 및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상담 및 치료 모델들의 발달 배경 및 주요 개념, 치료 목표와 치료 과정,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에 대해 습득할 수 있다.
4. 치료 모델로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보웬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이야기 가족치료의 특성을 말할 수 있다.
4. 가족상담 및 치료가 진행되는 과정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인 문제들 및 주의점에 대해 말할 수 있다.
5. 다양한 가족문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가족상담 및 치료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성적분포

성적분포
A등급 B등급 C등급 이하
20% ~ 30% 30% ~ 40% 30% ~ 50%

평가기간

평가기간
구분 평가기간 비고
중간고사 2021-01-01 오전 10:00
~
2021-01-04 오후 10:00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기말고사 2021-02-19 오전 10:00
~
2021-02-22 오후 10:00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과제 2020-12-09 - 2021-01-12
(AM 10:00 – PM 22:00)
토론 2021-02-05 - 2021-02-08
(AM 10:00 – PM 22:00)
쪽지 2021-01-22 - 2021-01-25
(AM 10:00 – PM 22:00)
참여 나의학습계획 2020-11-11 - 2020-12-01
(AM 10:00 – PM 22:00)
소개서/중간평가 2021-01-06 - 2021-01-19
(AM 10:00 – PM 22:00)

학습목차

학습목차
주차 학습내용 학습활동
1 1차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해
[강의 주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해
[강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
1) 가족의 개념 및 특성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의
3)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구분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성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전제
2) 개인치료와 가족치료의 차이
3) 가족상담과 집단상담
4) 가족상담과 가족생활교육
5) 가족상담과 가족 멘토링, 가족 코칭

3.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1) 가족 환경의 변화와 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2차시.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강의 주제]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강의 목표]
1. 서구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주요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 가족치료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의 가족문화와 가족문제를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서구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1) 가족치료의 형성기(1950년대)
2) 가족치료의 확대기(1960년대)
3) 가족치료의 정착 및 혁신기(1970년대)
4) 가족치료의 성장과 전문화기(1980년대)
5) 가족치료의 통합기(1990년대)
6) 2000년대

2. 한국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1) 한국 가족치료의 발전 과정

3. 한국의 가족문화와 가족문제
1)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2) 현대 한국 가족문제의 특성
2 1차시.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강의 주제]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강의 목표]
1. 전통적 가족치료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들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통적 가족치료
1) 전통적 가족치료

2. 전통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1) 체계론적 이론 모델 이전의 영향
2) 사이버네틱스
3) 일반체계이론
4) 학습이론
5) 의사소통이론
2차시. 혁신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강의 주제]
혁신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강의 목표]
1. 혁신적 가족치료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혁신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들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혁신적 가족치료
1) 혁신적 가족치료

2. 혁신적 가족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
1) 포스트모더니즘(후기구조주의, Post-modernism)
2)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3) 언어의 역할
4) 알지 못한다(Not-knowing)는 자세
5) 협력적 접근(Collaborative approach)
3 1차시. 가족체계의 이해
[강의 주제]
가족체계의 이해

[강의 목표]
1. 체계로서의 가족에 대한 기초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체계에서 본 문제행동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가족체계의 건강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체계로서의 가족
1) 개요
2) 체계와 가족체계
3) 가족 경계선
4) 가족항상성
5) 가족규칙
6) 가족신화
7) 가족 삼각관계
8) 가족 의사소통
9) 직선적 인과관계와 순환적 인과관계
10) 가족 외부 체계
11) 가족체계의 중요성

2. 가족체계에서 본 문제행동
1) 가족체계에서의 문제행동

3. 가족체계의 건강성
1) 건강한 가족이란?
2차시.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강의 주제]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강의 목표]
1.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접근의 발달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주요인물과 치료과정, 치료목표를 말할 수 있다.
3.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및 기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발달배경

2. 주요인물
1) 애커만(Ackerman)
2) 보스조르메니 내지(Boszormenyi-Nagy)
3) 딕스(H. Dix)
4) 후라모(J. Framo)

3. 주요개념
1) 애커만(Ackerman)의 가족역동론
2) 보스조르메니 내지(Boszormeny-Nagy)의 관계 윤리
3) 페어바인(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

4. 치료목표
1) 치료목표

5. 치료과정 및 기법
1) 치료 대상의 선정
2) 치료자의 역할
3) 감정 정화의 기법
4 1차시. 보웬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보웬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보웬 가족치료 접근의 발달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보웬 가족치료 접근의 주요인물과 치료과정, 치료목표를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발달배경

2. 주요인물
1) 보웬(Bowen)
2) 궤린(P. Guerin)

3. 주요개념
1) 자아분화
2) 삼각관계
3) 핵가족의 정서 체계
4) 가족투사 과정
5) 다세대 전수 과정
6) 출생순위
7) 정서적 단절
8) 사회의 정서적 과정

4. 치료목표
1) 치료목표
2차시. 보웬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보웬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보웬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과정을 말할 수 있다.
2. 보웬 가족치료에서 사용하는 치료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과정
1) 개요
2) 가족평가
3) 가족 내 불안 감소
4) 삼각관계 정의
5) 탈삼각관계화

2. 치료기법
1) 개요
2) 치료적 삼각관계
3) 가계도
4) 관계성 실험
5) 코칭
6) 나 입장(The I-position)
7) 다중 가족치료
8) 치환 이야기
5 1차시. 경험적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경험적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의 발달배경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경험적 가족치료자로 활동한 주요인물을 설명할 수 있다.
3.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개요
2) 실존주의 사조의 영향
3) 현상학의 영향

2. 주요인물
1) 휘태커
2) 사티어
3) 월터 켐플러
4) 프레드 덜과 바니 덜, 데이비드 켄터

3. 주요개념
1) 휘태커의 주요개념
2) 사티어의 주요개념
2차시. 경험적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경험적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2. 경험적 가족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목표
1)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2) 휘태커
3) 사티어

2. 치료자의 역할
1) 치료자의 역할

3. 치료과정
1) 경험주의 가족치료의 접근 방법
2) 휘태커의 치료과정
3) 사티어의 치료과정
6 1차시. 경험적 가족치료 Ⅲ
[강의 주제]
경험적 가족치료 Ⅲ

[강의 목표]
1. 경험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기법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경험적 가족치료의 한국사회에서의 유용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기법
1) 빙산 치료
2) 원가족 삼인군 치료
3) 부분들의 잔치 : 내적 자원의 통합
4) 가족 조각
5) 가족 안무
6) 은유
7) 명상
8) 가족 인형극
9) 가족 그림 그리기 기법
10) 역할놀이
11) 빈 의자 기법

2. 한국사회에서의 유용성
1) 한국사회에서의 유용성
2차시.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강의 주제]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강의 목표]
1.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접근의 발달과정과 주요인물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치료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3.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과정과 치료기법들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과정 및 주요인물
1) 초기의 행동주의적 가족치료자
2) 주요인물

2. 주요개념
1) 행동주의적 치료 이론 - 조작적 조건화 접근
2) 상호 관계 기술 개발의 필요성
3) 인지적 요인의 역할

3. 치료목표
1) 치료목표

4. 치료과정 및 기법
1) 치료과정
2) 치료기법
7 1차시. 구조적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구조적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말할 수 있다.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인물과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들을 비교해가며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이론적 배경
1) 이론적 배경

2. 주요인물
1) 미뉴친(S. Minuchin)

3. 주요개념
1) 가족 구조(Family structure)
2) 하위체계
3) 경계선
4) 제휴
5) 권력
6) 적응
7) 구조적 가족치료의 원리
2차시. 구조적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구조적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와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구조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기법인 가족과의 교류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구조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전략을 치료단계별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목표
1) 구조적 가족치료 접근에서 본 문제가족의 특성
2) 치료목표

2. 치료과정
1) 치료과정

3. 치료기법
1) 근거
2) 교류의 창조
3) 교류와의 합류
4) 교류의 재구조화

4. 치료전략
1) 개요
2) 합류와 적응하기
3) 실연
4) 구조 형태 파악하기(진단하기)
5) 특정 상호작용을 부각시켜서 조정하기
6) 경계선 설정하기
7) 균형 무너뜨리기
8) 가족 신념에 도전하기
8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정기시험
9 1차시. 전략적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전략적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전략적 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주요인물들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략적 가족치료의 세 가지 모델의 주요개념들을 비교할 수 있다.
3. 전략적 가족치료 세 가지 모델의 치료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및 주요인물
1) 발달배경
2) 주요인물

2. 주요개념
1) MRI 상호작용 모델
2) 헤일리(Haley)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3) 밀란(Milan)의 체계적 모델

3. 치료목표
1) 개요
2) MRI 상호작용 모델의 치료목표
3)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의 치료목표
4) 밀란의 체계적 모델의 치료목표
2차시. 전략적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전략적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전략적 가족치료가 가지는 가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을 세 가지 모델 별로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3. 전략적 가족치료의 여러 치료기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략적 가족치료의 가정
1) 전략적 가족치료의 가정

2. 치료과정
1) 개요
2) MRI 상호작용 모델
3)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4) 밀란의 체계적 모델

3. 치료기법
1) 역설적 개입
2) 지시
3) 재정의, 재명명
10 1차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접근의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2.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주요인물과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이론적 배경
2) 발달 배경

2. 주요인물
1) 스티브 드 세이저(Steve De Shazer)
2) 김인수(Insoo Kim Berg)
3) 이브 립칙(Eve Lipchik)
4) 미쉘 와이너 데이비스(Michele Weiner Davis)
5) 스콧 밀러(Scott Miller)
6) 빌 오 헬론(Bill O'Hanlon)

3. 주요개념
1) 인간관
2) 중심철학(Berg & Miller, 1992)
3) 문제, 문제해결, 저항에 관한 관점
4) 기본가정
5) 기본원리
6) 문제중심적 모델과 해결중심적 모델의 비교
2차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2.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에서의 치료자 역할을 말할 수 있다.
3.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접근의 치료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목표
1) 개요
2) 치료목표 설정의 중요성
3) 치료목표 설정의 원칙

2. 치료자 역할
1) 치료자 역할

3. 치료과정
1) 치료과정의 특징
2) 첫 회기 상담과 이후 상담과정
3) 치료개입의 5단계 모형
11 1차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Ⅲ
[강의 주제]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Ⅲ

[강의 목표]
1.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접근 시 사용되는 치료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유용성과 한계점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기법
1) 치료자와 내담가족원의 관계유형
2) 변화와 해결로 이끄는 질문
3) 메시지 주기

2.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유용성과 한계점
1) 유용성
2) 한계점
2차시. 이야기 가족치료 Ⅰ
[강의 주제]
이야기 가족치료 Ⅰ

[강의 목표]
1. 이야기 가족치료 접근의 발달배경을 말할 수 있다.
2. 이야기 가족치료의 주요인물과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이야기 가족치료의 주요개념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이야기 가족치료의 치료목표를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치료자와 내담가족원의 관계유형

2. 주요인물
1) 화이트(M. White)
2) 엡스턴(David Epston)
3) 후리드만과 콤스(Jill Freedman, Gene Combs)
4) 짐머만과 닥커슨(Jeffrey Zimmerman, Vicki Dickerson)
5) 앤더슨과 굴리시안(Harlene Anderson, Harry Goolishian)

3. 주요개념
1) 이야기 치료에서 사용하는 개념
2) 기본가정
3) 기본원리

4. 치료목표
1) 치료목표
12 1차시. 이야기 가족치료 Ⅱ
[강의 주제]
이야기 가족치료 Ⅱ

[강의 목표]
1. 이야기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이야기 가족치료에서의 치료자 역할을 말할 수 있다.
3. 이야기 가족치료의 치료기법들을 치료단계 별로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치료과정
1)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1) 치료자 역할

3. 치료기법
1) 문제의 경청과 문제의 정의해체 단계
2) 독특한 결과의 탐색 단계
3) 대안적 이야기 만들기
4) 대안적 정체성 구축
2차시. 통합적 가족치료
[강의 주제]
통합적 가족치료

[강의 목표]
1. 통합적 가족치료의 발달배경과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2. 통합적 가족치료사의 태도를 말할 수 있다.
3. 통합적 가족치료 중 구조 · 경험적 가족치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발달배경
1) 통합적 가족치료란?
2) 통합적 가족치료의 세 가지 유형

2. 통합적 가족치료사의 태도
1) 통합적 가족치료사의 태도

3. 통합적 가족치료 예 : 구조 · 경험적 가족치료
1) 인간과 가족에 대한 관점
2) 기본가정
3) 핵심용어
4) 치료목표와 과정
13 1차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초기과정
[강의 주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초기과정

[강의 목표]
1. 가족상담의 첫 단계인 접수상담과 치료적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치료 과정의 구조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사정에 포함되는 내용을 말할 수 있다.
4. 문제의 명료화 및 치료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접수상담
1) 접수상담의 내용

2. 치료적 관계 형성
1) 치료적 관계 형성

3. 치료과정의 구조화
1) 개요
2) 치료사(상담자) 역할의 구조화
3) 내담가족의 행동과 역할의 구조화
4) 치료계약
5) 치료에 참여하는 가족범위
6) 주의사항

4. 가족사정
1) 개요
2) 면접과 관찰방법
3) 가족발달단계에 의한 사정
4) 도식을 이용한 사정
5) 양적 검사도구

5. 문제의 명료화와 치료목표 설정
1) 문제의 명료화
2) 치료목표 설정
2차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중기과정
[강의 주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중기과정

[강의 목표]
1. 가족치료 중기과정의 진행과 개입방법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치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실제적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치료의 중기
1) 중기과정의 진행
2) 중기과정의 공통적 개입방법

2. 상담과정의 실제적 문제
1) 상담과정에서 의사소통문제
2) 행동변화에 도움이 되는 기법
3)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특별한 가족문제
4) 예상하지 못한 문제 처리
14 1차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종결과정
[강의 주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종결과정

[강의 목표]
1. 가족치료 종결을 결정하는 지표와 적절한 시기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가족치료의 종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하는 상황들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치료의 종결
1) 종결에 대한 계약
2) 치료 종결의 지표
3) 종결시기를 판단하는 기준
4) 종결과정에서 가족사정

2. 치료종결 방법
1) 도입단계
2) 요약단계(변화 확인 단계)
3) 장기적 목표에 대하여 나누기
4) 추후면담
5) 조기종결

3. 가족치료의 적용범위
1) 가족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하는 상황
2차시. 문제유형별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
[강의 주제]
문제유형별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

[강의 목표]
1. 부부문제 가족상담의 개입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녀문제 가족상담의 개입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노인문제 가족상담의 유의점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부문제 가족상담
1) 부부갈등 문제 상담
2) 부부폭력 문제 상담
3) 이혼문제 가족상담

2. 자녀문제 가족상담
1) 자녀의 비행문제 상담
2) 학교부적응 문제 상담

3. 노인문제 가족상담
1) 노인문제 상담의 접근
2) 노인문제 상담 시 유의할 점
15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정기시험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