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경영정보시스템 | 지도교수 | 박일규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0-11-11 ~ 2021-02-23(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1-03-10 | 성적보고 완료일 | 2021-03-16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1.04.01-2021.04.30 | 학위취득 | 2021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e-비즈니스학 전공,경영학 전공 |
---|---|
전문학사 | 경영 전공,산업·정보시스템경영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1-01-01 오전 10:00 ~ 2021-01-0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1-02-19 오전 10:00 ~ 2021-02-22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0-12-09 - 2021-01-12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1-02-05 - 2021-02-08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1-01-22 - 2021-01-25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0-11-11 - 2020-12-01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1-01-06 - 2021-01-19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디지털경영과 정보시스템
[강의 주제] 디지털경영과 정보시스템 [강의 목표] 1. 디지털경제의 출현 배경과 확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디지털경영의 개념과 특징, 정보기술 활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보시스템 패러다임의 진화 발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디지털경제의 출현 배경 및 개요 1) 디지털경제의 출현 배경 2)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3) 디지털경제의 개념과 패러다임의 변화 4) 디지털경제의 주요 특징 2. 디지털경영의 개념 및 특징 1) 디지털경영의 개념 2) 디지털경영의 특징 3) 디지털경영과 전통적인 기업 경영의 비교 4) 디지털경영의 확산과 조직 측면의 변화 3. 디지털경영과 정보기술 활용 1) 정보기술의 활용과 조직 변화 4. 정보시스템 패러다임의 변화 1) 정보기술의 활용과 조직 변화 2) 디지털경영의 핵심요소로서의 정보시스템 패러다임의 변화 |
|
2차시. 경쟁무기로서의 정보시스템
[강의 주제] 경쟁무기로서의 정보시스템 [강의 목표] 1. 오늘날 정보시스템에 대해 능숙한 사용자가 되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경영정보시스템(MIS)의 지향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보기술의 전략적 중요성과 활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경쟁전략과 정보기술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왜 정보시스템을 공부해야 하는가? 1) IT 관점에서 바라 본 현대 사회의 특징 2) 정보시스템을 공부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2. 경영정보시스템(MIS)의 지향 1) 경영정보시스템 개념의 발전과정 2) 조직 내 정보시스템 3) 조직 간 정보시스템 4) 경영정보시스템(MIS)의 지향점 3. 정보기술의 전략적 중요성과 활용 1) 정보기술의 전략적 중요성 2)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 3) IT를 통한 경쟁우위 창출 방안 4. 경쟁전략과 정보기술의 역할 1) 기업의 본원적 경쟁전략 2) 본원적 경쟁전략과 정보기술 3) 기업의 가치창출 활동 |
||
2 |
1차시. 경영, 정보 및 시스템 개념 Ⅰ
[강의 주제] 경영, 정보 및 시스템 개념 Ⅰ [강의 목표] 1. 경영의 기능 및 구조와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결정의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의사결정과 정보의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경영과 정보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경영의 기능 및 구조와 경영자의 역할 1) 경영의 개념 및 경영과정 2) 조직 기능(Organization Functions) 3) 경영 계층 4) 경영활동 수준 5) 경영 계층과 경영활동 수준에 따른 업무 내용 6) 경영자의 역할 7) 경영능력 2. 의사결정의 유형 및 특징 1) 의사결정의 기본과정 2) 의사결정의 유형 3. 의사결정과 정보의 가치 1) 정보의 기본 개념 2) 의사결정과 정보의 가치 4. 경영과 정보에 대한 시사점 1) 경영(관리)활동과 MIS와의 관계 2) MIS와 조직 |
|
2차시. 경영, 정보 및 시스템 개념 Ⅱ
[강의 주제] 경영, 정보 및 시스템 개념 Ⅱ [강의 목표] 1. 인간의 정보처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일반시스템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시스템 접근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처리와 시스템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인간의 정보처리 1) 인간의 정보처리 모형 2) 정보 과부하 2. 일반시스템 이론 1) 시스템에 대한 개요 2) 시스템의 개념적 정의 3) 시스템의 기본적 특성 3. 시스템 접근 방식 1) 시스템 접근 방식의 개념 2) 시스템 접근 방식의 적용 절차 3) 시스템 관점에서 본 기업 4) 기업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의 정보시스템 4. 정보처리와 시스템에 대한 시사점 1)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논의 2) 시스템의 개념 및 시스템 접근 방식 |
||
3 |
1차시. MIS의 구조와 정보시스템 유형 Ⅰ
[강의 주제] MIS의 구조와 정보시스템 유형 Ⅰ [강의 목표] 1. MIS 하위시스템의 분할 기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경영활동 수준에 따른 MIS 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조직 기능에 따른 MIS 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시스템의 유형별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MIS 하위시스템의 분할 기준 1) 조직 기능과 경영활동 수준 2) 경영활동 수준 개념의 확장 2. 경영활동 수준에 따른 MIS 구조 1) 경영활동 수준에 따른 요구 정보의 특성 2) 경영활동 수준별 MIS 구조적 특징 3. 조직 기능에 따른 MIS 구조 1) 조직 기능은 MIS의 구조를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 2) 생산정보시스템 3) 마케팅 정보시스템 4) 재무정보시스템 5) 인사정보시스템 6) 조직 기능에 따른 MIS 구조 : 종합 4. 정보시스템의 유형별 개념 1) 거래 처리 시스템(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 TPS) 2) 정보보고 시스템(Information Reporting Systems : IRS) |
|
2차시. MIS의 구조와 정보시스템 유형 Ⅱ
[강의 주제] MIS의 구조와 정보시스템 유형 Ⅱ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의 특징 및 의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MIS 구조에 관한 이론적 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MIS 구조에 관한 현실적 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MIS 구조와 조직 및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의 특징 및 의의 1)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s : DSS) 2) 사무자동화시스템(Office Automation Systems : OAS) 3) 지능정보시스템(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 IIS) 4) 경영자정보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s : EIS) 2. MIS 구조에 관한 이론적 모형 1) 이론적(개념적) MIS 구조 모형 3. MIS 구조에 관한 현실적 모형 1) 현실적(실제적) MIS 구조 모형 4. MIS 구조와 조직 및 프로세스 1) 현실적(실제적) 구조모형 관점에 입각한 조직의 정보시스템 재조명 2) IT/IS를 활용한 조직구조 및 프로세스 변화 기법 3)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BPR) |
||
4 |
1차시.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의 발전 동향
[강의 주제]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의 발전 동향 [강의 목표] 1. 정보사회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기술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보기술의 발전 동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기술의 유형 구분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사회의 개념과 특성 1) 정보사회의 개념 및 전망 2) 정보사회의 발전과정 3) 정보사회의 특성 4) 우리나라 정보화 수준 2. 정보기술의 구성요소 1) 정보기술의 개념 2) 정보기술의 구성요소 3. 정보기술의 발전 동향 1) 개요 2) 정보기술의 미래 예측 3) 오늘날 정보기술의 핵심 요소 기술 4) 신기술로의 진화 4. 정보기술의 유형 구분 1) 컴퓨터 하드웨어 2) 컴퓨터 소프트웨어 3) 프로그래밍 언어 4) 데이터베이스 5) 차세대 컴퓨팅 기술 |
|
2차시. 새로운 미래를 여는 정보기술
[강의 주제] 새로운 미래를 여는 정보기술 [강의 목표] 1. 빅데이터 시대에 대한 특성, 개념 및 분류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요, 아키텍처와 구성요소, 서비스, 사례, 경제적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개요, 유형 및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빅데이터 1) 빅데이터(Big Data) 시대 도래 2) 빅데이터의 개념 및 분류 3) 빅데이터 분석 기법 및 표현 기법 4) 빅데이터 분석 조직별 5단계 역할 5) 빅데이터 활용 사례 6) 빅데이터 시대 기업 준비사항 2. 클라우드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개요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아키텍처와 구성요소 3)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4) 클라우드 컴퓨팅 사례 5)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적 효과 3. 사물인터넷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의 개념 2) 사물인터넷 특징과 기본 구성요소 3) 국내외 사물인터넷의 주요 서비스 사례 4) 사물인터넷을 통한 기회 창출을 위한 과제 5) IoT의 발전 방향 4.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개요 2)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유형 및 기능 3)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및 활용 사례 4)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보안 5)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문제점 및 향후 전망 |
||
5 |
1차시. 주요 정보시스템 솔루션 개요 Ⅰ
[강의 주제] 주요 정보시스템 솔루션 개요 Ⅰ [강의 목표] 1.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 시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고객관계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공급망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주요 정보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 1)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의 개념 및 특징 2) ERP 시스템의 발전과정 3) ERP 시스템의 구성 및 주요 기능 2.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1)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개념의 정의 2) CRM 시스템의 유형 3) CRM 시스템의 구성 및 주요 기능 3. 공급망관리 시스템 1) SCM(Supply Chain Management) 개념의 정의 2) SCM 시스템의 정의 3) SCM 개념의 발전 배경 4) SCM 시스템의 기대효과 : 채찍효과(Bullwhip effect) 원천 차단 5) SCM 시스템의 구성 및 주요 기능 4. 주요 정보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 1) ERP 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 2) CRM 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 3) SCM 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 |
|
2차시. 주요 정보시스템 솔루션 개요 Ⅱ
[강의 주제] 주요 정보시스템 솔루션 개요 Ⅱ [강의 목표] 1. 지식경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략적 기업 경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제품수명주기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지식경영 시스템 1) 지식경영 개념의 정의 2) KMS의 구성 및 주요 기능 3) KMS의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 2. 전략적 기업 경영 시스템 1) SEM 개념의 정의 및 시스템 구성 2) SEM 관련 경영 기법 3. 제품수명주기관리 시스템 1) 제품수명주기관리 시스템의 정의 2) PLM 시스템의 구성 모듈 4.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1) BPM 시스템의 정의 및 목적 2) BPM 도입의 기대효과 3) BPM의 주요 기능 |
||
6 |
1차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과 경영혁신 Ⅰ
[강의 주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과 경영혁신 Ⅰ [강의 목표] 1. 경영전략 및 기업 경쟁력 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 경영과 정보기술의 전략적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전략적 정보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경영전략 및 기업 경쟁력 모형 1) 경영전략의 개념 2) 경영전략의 유형 3) 기업 경쟁력 모형 2. 기업 경영과 정보기술의 전략적 의미 1) 정보기술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 2) 산업 차원에서의 파급효과 3) 기업 차원에서의 파급효과 4) 전략 차원에서의 파급효과 3. 전략적 정보시스템 1) 전략적 정보시스템(SIS)의 개념 정의 2) 전략적 정보시스템(SIS) 개념의 발전 배경 4.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 방안 1) 정보기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정립 : 근시안 탈피 2)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접근 방법 3)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고려 사항 |
|
2차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과 경영혁신 Ⅱ
[강의 주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과 경영혁신 Ⅱ [강의 목표] 1. 경영혁신의 개념적 정의 및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경영혁신과 정보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경영혁신과 정보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비즈니스 혁신도구로서의 정보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경영혁신의 개요 1) 경영혁신(Management Innovation)의 개념 2) 경영혁신의 필요성 2. 경영혁신과 정보기술 1) 정보기술, 경영혁신의 가장 탁월한 기반기술 2) 정보기술을 활용한 경영혁신의 특징 3. 경영혁신과 정보기술의 중요성 1) 경영혁신과 정보기술의 중요성 2) 프로세스 혁신의 개념적 정의 3) 프로세스 혁신의 장점 4) 프로세스 혁신의 추진체계 5) 프로세스 혁신과 정보기술의 역할 4. 비즈니스 혁신도구로서의 정보시스템 1) 비즈니스 프로세스 2) 경영혁신과 BPR 3) 업무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 : BPM) |
||
7 |
1차시. 정보시스템 전략 및 계획의 수립 Ⅰ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전략 및 계획의 수립 Ⅰ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계획의 목표, 유형, 영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시스템 계획을 수립하는 기본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계획의 목표 1) 정보시스템 계획의 정의 2) 정보시스템 계획의 목표 3) 정보시스템 계획의 필요성 2. 정보시스템 계획의 유형 1) 개요 2) 유형별 특징 3. 정보시스템 계획의 영역 1) 개념 2) 정보시스템(IS) 영역 3) 정보기술(IT) 영역 4) 정보관리(IM) 영역 4. 정보시스템 계획 수립 과정 1) 정보시스템 계획의 기본과정 2) 정보시스템 계획의 성공 요인 |
|
2차시. 정보시스템 전략 및 계획의 수립 Ⅱ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전략 및 계획의 수립 Ⅱ [강의 목표] 1. 정보전략계획 수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주요 정보 요구 분석 도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보기술아키텍처 수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공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전략계획 수립 1) 정보전략계획의 기본 개념 2) ISP의 투입물과 산출물 3) ISP의 방법론 2. 주요 정보 요구 분석 도구 1) BSP와 CSF 2) BSP(Business Systems Planning : 정보시스템 계획 작성기법) 3) CSF(Critical Success Factors : 핵심 성공 요인) 4) ISP의 장애요인 및 성공 요인 3. 정보기술아키텍처 수립 1) 정보기술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 EA)의 등장 배경 2) 정보기술아키텍처(EA)의 개념적 정의 3) 정보기술아키텍처(EA)의 구성 4) 정보기술아키텍처(EA) 도입 프로세스 5) 정보기술아키텍처(EA)의 기대효과 4.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공 요인 1) 정보기술아키텍처(EA)의 핵심 성공 요인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정보시스템 기능 및 인력의 조직화 Ⅰ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기능 및 인력의 조직화 Ⅰ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기능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시스템 기능의 집중화와 분산화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정보시스템 부서의 조직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기능의 정의 1) 전통적 관점에서의 정보시스템 기능의 정의 2) 거시적 관점에서의 정보시스템 기능의 정의 2. 정보시스템 기능의 집중화와 분산화 1) 정보시스템 기능의 집중화와 분산화 요인 3. 정보시스템 부서의 조직화 1) 정보시스템 부서의 집중화와 분산화 2) 정보시스템 부서의 전형적 조직구조 3) 정보시스템 부서 개념의 발전추세 |
|
2차시. 정보시스템 기능 및 인력의 조직화 Ⅱ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기능 및 인력의 조직화 Ⅱ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의 능력 요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정보시스템 인력의 직무와 동기부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보시스템 인력개발과 직무설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의 역할 1)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의 명칭 2)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Chief Information Officer : CIO) 2. 정보시스템 부서 책임자의 능력 요건 1) CIO에게 요구되는 능력 2) CIO 역할의 장애요인 3) CIO 역할의 최적화 방안 3. 정보시스템 인력의 직무와 동기부여 1) 정보시스템 인력의 직무 2) 정보시스템 인력에 대한 동기부여 4. 정보시스템 인력개발과 직무설계 1) 정보시스템 인력개발 및 관리제도 2) 정보시스템 인력의 직무설계 |
||
10 |
1차시. 정보시스템 확보 전략 Ⅰ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확보 전략 Ⅰ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혁신, 사용권 중심, 사용자 중심의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을 말할 수 있다. 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확보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혁신의 관점 1)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혁신의 기본 관점 2. 사용권 중심의 관점 1)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사용권 중심의 기본 관점 3. 사용자 중심의 관점 1)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기본 관점 2) 정보시스템 확보에 대한 신·구 관점 비교 4. 하드웨어의 확보 1) 하드웨어 확보의 유형 2) 하드웨어의 확보 과정 5. 소프트웨어의 확보 1) 소프트웨어 확보 유형 및 과정 2) 소프트웨어 확보방법의 결정 |
|
2차시. 정보시스템 확보 전략 Ⅱ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확보 전략 Ⅱ [강의 목표] 1. 아웃소싱의 정의 및 발전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아웃소싱의 적용 업무 및 추진 단계를 말할 수 있다. 3. 아웃소싱의 위험요인과 성공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아웃소싱과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웃소싱의 정의 및 발전 배경 1) 아웃소싱(Outsourcing)의 개념적 정의 2) 아웃소싱의 목적 및 기대효과 2. 아웃소싱의 적용 업무 및 추진 단계 1) 아웃소싱의 방법, 대상 및 적용 업무 2) 아웃소싱의 추진 단계 3. 아웃소싱의 위험요인과 성공요인 1) 아웃소싱의 위험요인 2) 아웃소싱의 성공요인 4. 아웃소싱과 클라우드 컴퓨팅 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모형 |
||
11 |
1차시.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Ⅰ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Ⅰ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개발 접근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통적 개발, 구조적, 정보공학, 객체지향,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개발 접근법 1) 생명주기 접근법 2) 원형 개발 접근법 3) 생명주기 접근법과 원형 개발 접근법의 선택 2. 전통적 개발 방법론 1) 전통적 개발 방법론의 개요 3. 구조적 방법론 1) 구조적 방법론의 등장배경 2) 구조적 방법론의 개요 3) 구조적 분석의 기본 개념 4) 구조적 방법론의 장단점 4. 정보공학 방법론 1) 정보공학 방법론의 개요 5. 객체지향 방법론 1) 객체지향 방법론의 개요 2) 객체지향 방법론과 기존 방법론의 비교 6.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1)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의 정의 2)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의 유형 3) 컴포넌트 획득 방법 |
|
2차시.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Ⅱ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Ⅱ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이행과 운영을 말할 수 있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이행 1) 시스템 운영환경의 조성 2) 시스템에 대한 교육훈련 3) 파일 변환(File conversion) 4) 시스템 전환 2. 정보시스템 운영 1) 정보시스템 운영의 개요 2) 정보시스템 유지 보수의 개요 3. 하드웨어 유지 보수 1) 하드웨어의 유지 보수 유형 4.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1)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 유형 2)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 활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 |
||
12 |
1차시.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및 변화관리 Ⅰ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및 변화관리 Ⅰ [강의 목표] 1. 프로젝트 관리의 의의와 목적을 말할 수 있다. 2.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과 능력을 말할 수 있다. 4. 프로젝트의 성패 결정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프로젝트 관리의 의의와 목적 1) 프로젝트 관리의 의의 2) 프로젝트 관리의 목적 2.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1) PMI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2) 국내 모 SI 업체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사례 3.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과 능력 1)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 2)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자의 능력 4. 프로젝트의 성패 결정요인 1)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성공 및 실패 결정요인 |
|
2차시.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및 변화관리 Ⅱ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및 변화관리 Ⅱ [강의 목표] 1. 변화관리의 의의와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2. 변화관리 전략 및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변화관리의 실패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변화관리의 의의 1) 정보시스템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의 의의 2. 변화관리의 필요성 1) 변화관리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요인 2) 정보시스템 구축과 조직 변화 3) 조직 변화에 대한 저항 4)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사용자 간 갈등 3. 변화관리 전략 및 활동 1) 정보시스템 개발자와 사용자의 갈등관리 2) 정보시스템 구축의 변화론적 접근 3) 변화관리 전략 및 주요 활동 4. 변화관리의 실패 원인 1) 변화관리 또는 조직 변화가 실패하는 원인 |
||
13 |
1차시. 정보보호 및 업무연속성 관리 Ⅰ
[강의 주제] 정보보호 및 업무연속성 관리 Ⅰ [강의 목표] 1. 정보보호의 필요성 인식을 말할 수 있다. 2. 기술적 관점의 주요 정보 보호 기술을 말할 수 있다. 3. 컴퓨터 및 통신망 관련 범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컴퓨터 및 사이버 범죄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 보호의 필요성 인식 1) 정보 보호의 개념 정의 2) 정보 보호에 대한 위협요소 3) 정보 보호대책의 의의와 유형 2. 기술적 관점의 주요 정보 보호 기술 1) 정보 보호 기반기술 2) 네트워크 보안기술 3) 보안운영체제 3. 컴퓨터 및 통신망 관련 범죄 1) 컴퓨터범죄의 개념 2) 컴퓨터범죄의 특징 3) 사이버범죄의 개념 4. 컴퓨터 및 사이버 범죄 사례 1) 컴퓨터범죄의 유형 2) 사이버범죄의 유형 |
|
2차시. 정보보호 및 업무연속성 관리 Ⅱ
[강의 주제] 정보보호 및 업무연속성 관리Ⅱ [강의 목표] 1. 업무연속성관리의 개념 및 발전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업무연속성계획과 비상 계획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업무연속성관리 프로세스 모형을 말할 수 있다. 4. 재해복구시스템의 구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업무연속성 관리의 개념 및 발전 배경 1) 정보시스템의 업무연속성관리의 개념 및 발전배경 2. 업무연속성 계획과 비상 계획 1) 업무연속성 계획과 비상계획 개요 3. 업무연속성 관리 프로세스 모형 1) 업무연속성 관리 프로세스 모형 개요 4. 재해복구시스템의 구축 1) 복구수준별 재해복구시스템의 유형 2) 재해복구시스템의 운영방식 |
||
14 |
1차시. 정보시스템 평가 및 감리
[강의 주제] 정보시스템 평가 및 감리 [강의 목표] 1. 정보시스템 평가의 개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시스템 감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보시스템 평가의 개요 1) 정보시스템 평가의 의의 2) 정보시스템 평가의 유형 3) 정보시스템 평가절차 4) 정보시스템 평가의 문제점 2. 정보시스템 감리의 개요 1) 정보시스템 감리의 의의 및 현황 2) 정보시스템 감리의 목적 및 유형 3) 정보시스템 감리의 단계 및 절차 4) 정보시스템 감리인의 요건 및 준수사항 5) 정보시스템 감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
2차시. IT 컨설팅의 이해 및 방법론
[강의 주제] IT 컨설팅의 이해 및 방법론 [강의 목표] 1. 컨설팅에 대한 정의, 목적, 본질, 역사, 특성, 효과 측정, 유형, 진행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컨설턴트의 자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컨설팅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컨설팅 방법론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컨설팅 개요 1) 컨설팅이란? 2) 컨설팅의 목적 3) 컨설팅 정의 4) 컨설팅의 본질 5) 컨설팅 역사 6) 경영 컨설팅의 특성 7) 컨설팅의 효과 측정 8) 컨설팅의 유형 9) 컨설팅 진행절차 2. 컨설턴트의 자질 1) 컨설턴트의 모델 2) 컨설턴트의 역할 3) 컨설턴트의 자질 4) 컨설팅 및 컨설턴트의 Key Success Factor 3. 컨설팅 기법 1) 컨설팅 주요 기법 2) Basic Style 3) Basic Skill 4) Summary - 10 Checkpoint?4. 컨설팅 방법론 1) 정보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2) 비즈니스프로세스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3) 프로세스혁신(Process Innovation) 4) 경영분석기법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