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아동안전관리[이론] | 지도교수 | 윤향미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0-11-11 ~ 2021-02-23(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1-03-10 | 성적보고 완료일 | 2021-03-16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1.04.01-2021.04.30 | 학위취득 | 2021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아동학 |
---|---|
전문학사 | 아동ㆍ가족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1-01-01 오전 10:00 ~ 2021-01-0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1-02-19 오전 10:00 ~ 2021-02-22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0-12-09 - 2021-01-12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1-02-05 - 2021-02-08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1-01-22 - 2021-01-25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0-11-11 - 2020-12-01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1-01-06 - 2021-01-19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아동과 안전 Ⅰ
[강의 주제] 아동과 안전 Ⅰ [강의 목표] 1. 영유아와 안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영유아 안전교육을 이해하고 안전교육의 내용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영유아와 안전 1) 안전의 개념 및 중요성 2) 영유아의 안전교육의 의미 2. 영유아 안전교육의 이해 1) 영유아 안전교육의 필요성 2) 영유아 안전교육의 목적 및 효과 3)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구성 및 범주 |
|
2차시. 아동과 안전 Ⅱ
[강의 주제] 아동과 안전 Ⅱ [강의 목표] 1. 아동안전사고의 특징과 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동안전사고의 특징 및 현황 1) 아동안전사고의 특징 2) 아동안전사고의 현황 |
||
2 |
1차시. 아동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예방 Ⅰ
[강의 주제] 아동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예방 Ⅰ [강의 목표] 1. 영아기의 발달적 특성을 알고,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와 예방법을 말할 수 있다. 2. 걸음마기의 발달적 특성을 알고,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와 예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영아기 1) 영아기의 발달적 특성과 안전 2) 영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사고 2. 걸음마기 1) 걸음마기(1~3세)의 발달적 특성과 안전 2) 걸음마기에 흔히 발생하는 사고 |
|
2차시. 아동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예방 Ⅱ
[강의 주제] 아동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예방 Ⅱ [강의 목표] 1. 유아기와 학동기의 발달적 특성을 알고, 흔히 발생하는 사고와 예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유아기와 학동기 1) 유아기의 발달적 특성과 안전 2) 유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사고 3) 학동기의 특성과 안전사고 예방 |
||
3 |
1차시.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 Ⅰ
[강의 주제]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 Ⅰ [강의 목표] 1. 유아교육기관의 안전사고 현황과 실태를 통해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2. 보육교직원의 안전 관련 직무와 책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서의 안전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 현황과 실태 2) 원장, 교사의 안전 관련 직무 및 책임 3) 안전교육의 실제 2. 표준보육과정과 5세 누리과정의 안전교육 1) 안전교육의 과정 |
|
2차시.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 Ⅱ
[강의 주제]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 Ⅱ [강의 목표] 1. 어린이집 시설 내 사고 현황을 통해 안전사고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시설 안전점검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1) 시설 내 사고 현황 2) 시설 안전점검 |
||
4 |
1차시. 실내외 환경 안전 Ⅰ
[강의 주제] 실내외 환경 안전 Ⅰ [강의 목표] 1. 어린이집에서의 실내 안전관리의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실내 안전관리 ①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내 안전관리 의미 2) 복도와 통로, 현관에서의 안전관리 내용 3) 창문, 목욕실과 화장실, 계단에서의 안전관리 내용 2. 실내 안전관리 ② 1) 교무실과 보건실에서의 안전관리 내용 2) 보육실의 안전관리 내용 3) 주방, 유희실, 전기시설에서의 안전관리 내용 |
|
2차시. 실내외 환경 안전 Ⅱ
[강의 주제] 실내외 환경 안전 Ⅱ [강의 목표] 1. 실외 안전관리 중 실외 놀이터와 승강기 및 에스컬레이터 안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실외 안전관리 1) 실외 놀이터 안전관리 및 설치기준 2) 승강기 및 에스컬레이터 안전 |
||
5 |
1차시. 가정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가정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가정 안전교육의 의미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정에서의 안전교육 1) 가정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
2차시. 가정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가정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집안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집안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났을 시 대처방안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집안 장소에 따른 안전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안 ① 1) 침대와 가구에서의 안전사고 원인 및 대처방안 2) 방과 거실의 안전사고 원인 및 대처방안 2. 집안 장소에 따른 안전사고의 원인 및 대처방안 ② 1) 화장실, 주방, 현관, 창, 베란다에서의 안전사고 원인 및 대처방안 2) 가정에서의 안전지도 시 고려사항 |
||
6 |
1차시. 교통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교통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교통 안전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걸을 때와 차에 탈 때의 안전교육 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보행 및 승차 안전교육 1) 교통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보행 및 승차 안전교육 |
|
2차시. 교통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교통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교통 신호 보는 법과 교통 안전표지판에 대해 아동에게 설명할 수 있다. 2. 교통 안전규칙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유아교육기관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교통사고 시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교통 안전지도 1) 교통 신호 2) 교통 안전표지판 3)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 School zone) 2. 교통 안전규칙과 대처방법 1) 교사와 부모를 위한 교통안전 규칙 2) 교통사고를 당한 아동의 응급처치 3) 유아교육기관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교통사고 시 대처 |
||
7 |
1차시. 운동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운동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운동안전과 수상안전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수상 안전 1) 운동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2) 수상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3) 연령에 따른 안전대책 4) 수영장과 야외 물놀이 안전대책 |
|
2차시. 운동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운동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놀이스포츠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야구와 축구를 할 때의 안전수칙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 등 탈 것에 대한 안전대책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놀이스포츠와 운동 시의 안전 1) 놀이스포츠의 전반적인 이해 2) 야구의 안전대책 3) 축구의 안전대책 2. 탈 것과 안전 1) 자전거의 문제점 및 안전대책 2)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의 안전대책 3) 스케이트보드와 킥보드의 안전대책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동식물, 화재, 미디어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동식물, 화재, 미디어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동식물 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2. 화재 안전교육의 내용과 대처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동식물의 안전교육 1) 동식물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동물 안전교육의 내용 3) 식물 안전교육의 내용 2. 화재 안전교육 1) 화재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화재 안전교육의 내용 3) 화재 대피훈련 및 대처방법 |
|
2차시. 동식물, 화재, 미디어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동식물, 화재, 미디어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미디어 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말할 수 있다. 2. 컴퓨터와 인터넷 안전교육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미디어 안전교육 1) 미디어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컴퓨터의 안전설치 및 사용 3) 컴퓨터와 인터넷 안전교육 |
||
10 |
1차시. 아동학대 및 유괴, 미아,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아동학대 및 유괴, 미아,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2. 유괴 예방 안전교육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아동학대 및 유괴에 대한 안전교육 1) 아동학대의 정의 및 분류 2) 아동학대의 원인과 치료 3) 유괴 예방 안전교육 |
|
2차시. 아동학대 및 유괴, 미아,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아동학대 및 유괴, 미아,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미아 예방 안전교육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미아 예방 안전교육 1) 미아의 개념 2) 미아 예방법 3) 미아 예방 3단계 구호 2. 성폭력 예방 안전교육 1) 성폭력의 개념 및 빈도 2) 아동의 성폭력에 대한 취약성과 그 예방대책 3) 성폭력 아동의 후유증 |
||
11 |
1차시. 식품 및 자연재해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식품 및 자연재해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각종 식품의 보관 요령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식품으로 인한 질병과 식중독 예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식품의 보존과 저장 1) 합리적인 식품의 보관 2) 각종 식품의 보관 요령 2. 식품의 변질 / 식품으로 인한 질병 및 식중독 예방 1) 식품 부패의 원인 및 진행과정 2) 각종 식품의 부패 3) 식품으로 인한 질병 4) 식중독 예방 |
|
2차시. 식품 및 자연재해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식품 및 자연재해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태풍, 지진과 황사를 대비하는 방과 대처요령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연재해 안전교육 1) 태풍 시 대비 및 대처요령 2) 호우 시 대비 및 대처요령 3) 지진 및 황사의 대비와 대처요령 |
||
12 |
1차시. 놀이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놀이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안전한 놀이 환경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유아교육기관의 놀이 환경 안전점검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바람직한 놀잇감의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놀이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이해 1) 안전한 놀이 환경 2) 놀이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유아교육기관의 놀이 환경 1) 유아교육기관의 놀이 환경 현황 2) 유아교육기관의 놀이 환경 안전점검 및 관리 3) 바람직한 놀잇감의 조건 |
|
2차시. 놀이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놀이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놀이 안전교육을 하는 목적을 말할 수 있다. 2. 놀이 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놀이 안전교육 시 교사의 역할과 교수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놀이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 1) 놀이 안전교육의 목적 및 내용 2) 놀이 안전교육의 방법 3) 놀이 안전교육 시 교사의 역할 및 교수원리 |
||
13 |
1차시.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 Ⅰ
[강의 주제]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 Ⅰ [강의 목표] 1.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1)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약물 오 · 남용 안전사고의 현황 3)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의 내용 |
|
2차시.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 Ⅱ
[강의 주제]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 Ⅱ [강의 목표] 1.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환경 및 공해 안전 ① 1)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의 필요성 2) 환경 및 공해 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2. 환경 및 공해 안전 ② 1) 수질오염의 원인과 안전교육 2) 대기오염의 원인과 안전교육 3) 토양오염의 원인과 안전교육 |
||
14 |
1차시. 안전사고의 처리 및 안전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Ⅰ
[강의 주제] 안전사고의 처리 및 안전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Ⅰ [강의 목표] 1. 안전사고 발생 시 처리 방법과 후속조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안전사고 발생 시 처리 및 후속조치 1) 안전사고 발생 시 처리 2) 안전사고의 후속조치 |
|
2차시. 안전사고의 처리 및 안전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Ⅱ
[강의 주제] 안전사고의 처리 및 안전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Ⅱ [강의 목표] 1. 영유아에게 안전교육을 할 때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안전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안전교육의 교사 역할 1) 안전교육의 영유아 교사 역할의 중요성 2) 비지시적, 중재적, 지시적 교사의 역할 2. 안전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1) 이야기나누기와 문학활동 2) 게임활동, 역할놀이, 현장견학, 시청각 자료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