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상담심리학 | 지도교수 | 문화진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1-12-01 ~ 2022-03-15(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2-03-30 | 성적보고 완료일 | 2022-04-05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2.04.01 - 2022.04.30 | 학위취득 | 2022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노년학 전공,심리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군사행정 전공,군수관리 전공,생활교양 전공,지상전 전공,항공기술 전공,항공작전 전공,해상전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2-01-21 오전 10:00 ~ 2022-01-2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2-03-11 오전 10:00 ~ 2022-03-14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1-12-29 - 2022-02-01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2-02-25 - 2022-02-28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2-02-11 - 2022-02-14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1-12-01 - 2021-12-21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2-01-26 - 2022-02-08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상담과 상담사
[강의 목표] 1. 상담의 기본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상담사의 조건과 훈련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사의 자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상담의 기본적 이해 2. 상담사의 조건과 훈련 |
[수업보조자료] - 교안(강의노트) - 음성파일(mp3) 다운로드 제공(전 주차 적용) [보충학습자료] - 상담자의 윤리에 대한 자료 |
2차시. 상담을 위한 심리검사
[강의 목표] 1. 상담의 과정에서 심리평가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심리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심리평가 2. 심리검사 |
||
2 |
1차시. 정신분석 상담 Ⅰ
[강의 목표]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신분석 이론에서 내담자의 부적응 행동을 야기하는 심리적 근원을 무엇으로 규정하는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신분석 이론 2. 부적응 행동의 원인과 치료 논리 |
|
2차시. 정신분석 상담 Ⅱ
[강의 목표] 1. 정신분석 상담의 목표와 상담의 과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정신분석 상담에서 활용하는 기법들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신분석 상담의 목표와 과정 2. 정신분석 상담의 기법들 |
||
3 |
1차시. 교류분석 상담 Ⅰ
[강의 목표] 1. 교류분석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교류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교류분석이란? 2. 교류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 |
|
2차시. 교류분석 상담 Ⅱ
[강의 목표] 1. 교류분석에서 보는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치료 논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교류분석 이론의 상담 목표와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치료 논리 2. 상담의 목표와 과정 |
||
4 |
1차시. 개인 심리 상담
[강의 목표] 1. 개인 심리 상담과 부적응 행동의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개인 심리 상담의 상담 목표와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개인 심리 상담과 부적응 행동의 근원 2. 상담의 목표와 과정 |
|
2차시. 특성 - 요인 상담
[강의 목표] 1. 특성 - 요인 상담과 부적응 행동의 근원 및 치료 논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특성 - 요인 상담의 상담 목표와 과정 및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특성-요인 상담과 부적응 행동의 근원 및 치료 논리 2.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 |
||
5 |
1차시. 행동주의 상담
[강의 목표] 1. 행동주의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행동주의 상담의 부적응 행동 근원과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가정 및 상담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행동주의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이론 3. 상담의 기본 가정 및 상담 기법 |
|
2차시. 인간중심 상담
[강의 목표] 1. 인간중심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인간중심 상담의 부적응 행동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간중심 상담의 목표 및 상담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인간중심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 3. 상담의 목표 및 상담 기법 |
||
6 |
1차시. 실존주의 상담
[강의 목표] 1. 실존주의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실존주의 상담의 부적응 행동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실존주의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실존주의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 |
|
2차시. 형태주의 상담
[강의 목표] 1. 형태주의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형태주의 상담의 부적응 행동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형태주의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형태주의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 |
||
7 |
1차시. 합리적 · 정서적 · 행동적 상담
[강의 목표] 1. 합리적 · 정서적 · 행동적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치료 논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합리적 · 정서적 · 행동적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과 치료 논리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상담 기법 |
|
2차시. 인지 상담
[강의 목표] 1. 인지적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인지적 상담의 부적응 행동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지적 상담의 상담 과정과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인지적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 3. 상담의 과정과 기법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현실 상담
[강의 목표] 1. 현실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부적응 행동의 근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현실 상담이란? 2. 부적응 행동의 근원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및 기법 |
|
2차시. 기타 상담(치료 기법)
[강의 목표] 1. 놀이치료의 목표, 대상, 치료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의 장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음악치료의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놀이치료 2. 미술치료 3. 음악치료 |
||
10 |
1차시. 상담의 절차 Ⅰ
[강의 목표] 1. 접수 상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첫 회 상담과 관계 형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접수 상담 2. 첫 회 상담과 관계 형성 |
|
2차시. 상담의 절차 Ⅱ
[강의 목표] 1. 자기탐구 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기이해 및 자기수용의 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행동화 및 종결 및 자립 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기탐구 단계 2. 자기이해 및 자기수용의 단계 3. 행동화 및 종결/자립 단계 |
||
11 |
1차시. 상담 기법 Ⅰ
[강의 목표] 1. 다양한 상담 기법으로 신뢰, 공감성, 경청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대결하기 상담 기법을 통해 내담자에게 미치게 될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여러 가지 상담 기법 1) 신뢰관계 만들기 2) 공감성 높이기 3) 경청하기 4) 명확화 하기 5) 자기개방 하기 6) 요약하기 7) 대결하기 |
[쪽지시험] 1) 출제범위 : 1~10주차 강의 2) 시험문제 : 객관식 5문항 |
2차시. 상담 기법 Ⅱ
[강의 목표] 1. 여러 가지 상담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상담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여러 가지 상담 기법 2. 상담에서 부딪히는 문제들 |
||
12 |
1차시. 학교 및 직장 상담
[강의 목표] 1. 학교 상담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관계와 학교상담의 장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살펴봄으로써 직장 상담의 기본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학교 상담 2. 직장 상담 |
|
2차시. 장애아 및 부모 상담
[강의 목표] 1. 장애의 상담 가이드와 주요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부모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장애아 상담 2. 부모 상담 |
||
13 |
1차시. 가족 및 부부 상담
[강의 목표] 1. 가족 문제의 원인과 상담에서의 접근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부부 갈등의 원인과 부부 상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족 상담 2. 부부 상담 |
[토론] 1.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 중에서, 상담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은 어느 쪽입니까? 2. 단기 상담과 장기 상담이 가진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상담의 과정에서 ‘라포’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
2차시. 원격 상담
[강의 목표] 1. 전화 상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화 상담의 진행과 대응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화 상담 2. 전화 상담의 진행과 대응 |
||
14 |
1차시. 단기 상담
[강의 목표] 1. 단기 상담의 개념과 특징 및 성립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단기 상담 모델 및 상담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개념과 특징 및 성립 배경 2. 상담 모델 및 상담 과정 |
|
2차시. 집단 상담
[강의 목표] 1. 집단 상담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집단 상담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개념 및 특징 2. 상담 과정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