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 | 지도교수 | 김원경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1-12-01 ~ 2022-03-15(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2-03-30 | 성적보고 완료일 | 2022-04-05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2.04.01 - 2022.04.30 | 학위취득 | 2022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
---|---|
전문학사 | -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2-01-21 오전 10:00 ~ 2022-01-2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2-03-11 오전 10:00 ~ 2022-03-14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1-12-29 - 2022-02-01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2-02-25 - 2022-02-28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2-02-11 - 2022-02-14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1-12-01 - 2021-12-21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2-01-26 - 2022-02-08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언어교수의 이해
[강의 목표] 1. 언어교수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언어교수이론을 정의하고, 외국어 교육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언어교수의 개념 2. 언어교수이론의 전제 3. 외국어교수와 학습 |
[수업보조자료] - 온라인 강의 - 교안(강의노트) - 음성파일(mp3) 다운로드 제공 (전 주차 적용) |
2차시. 외국어교수의 원리
[강의 목표] 1. 외국어교수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외국어교수의 실제를 말할 수 있다. 3. 언어 교수자의 역할과 특성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외국어교수의 원리 2. 외국어교수의 실제 3. 언어 교수자 |
||
2 |
1차시. 언어교수이론의 언어학적 기반
[강의 목표] 1. 언어의 본질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간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3. 현대 언어학과 언어교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언어의 본질 2. 인간의 의사소통 방법 3. 현대 언어학과 언어교수 |
|
2차시. 심리학적 관점의 외국어 학습
[강의 목표] 1. 행동주의 관점에서 외국어 학습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지주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외국어 학습을 말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 연구와 연관하여 사회심리적 대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행동주의 심리학과 외국어 학습 2. 인지주의 심리학과 외국어 학습 3. 최근의 심리학적 접근과 외국어 학습 |
||
3 |
1차시. 신경학적 관점의 외국어 학습
[강의 목표] 1. 인간의 뇌 발달과 외국어 학습의 관계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2. 신경언어학과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 외국어 학습 연구의 시사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언어와 뇌 2. 신경언어학과 신경심리학적 접근 |
|
2차시.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이론
[강의 목표] 1. 모국어와 외국어 학습 과정의 유사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을 살펴봄으로써 동일가설에 대한 반론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의 동일가설 2.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비교 3. 외국어 학습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
||
4 |
1차시. 모국어 습득 및 외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강의 목표] 1. 모국어 습득 및 외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다양한 교실 상호작용이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에 형식 교수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국어 습득 및 외국어 습득과 외국어 학습 2. 교실 상호작용과 외국어 학습 3. 형식 교수와 외국어 학습 |
|
2차시. 학습자 연령과 외국어 학습
[강의 목표] 1. 외국어 학습에 학습자 연령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2.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에 관한 가설들의 비교를 통해 신경 발달과 인지 발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나이와 외국어 학습 2. 설명 가설 및 비교 |
||
5 |
1차시. 인지적 요인과 외국어 학습
[강의 목표] 1. 외국어 학습과 지능과의 관련성을 말할 수 있다. 2. 인지 스타일에 따르는 외국어 학습의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3. 언어 학습 적성이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지능 2. 인지 스타일 3. 언어 학습 적성 |
|
2차시. 정의적 요인과 외국어 학습 Ⅰ
[강의 목표] 1.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정의적 요인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정의적 요인과 외국어 학습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학습자 성격과 외국어 학습의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의적 요인의 정의 2. 정의적 요인의 종류 3. 성격 유형 |
||
6 |
1차시. 정의적 요인과 외국어 학습 Ⅱ
[강의 목표] 1. 제2언어 습득 분야에서 동기의 역할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동기의 하부 구성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언어 교실에서의 동기의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동기 이론 2. 동기의 요인 3. 교실에서의 동기 |
|
2차시. 사회문화적 요소
[강의 목표] 1. 문화의 개념과 고정 관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제2문화 습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적 거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문화 개념 2. 제2문화 습득 3.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
||
7 |
1차시. 의사소통 능력
[강의 목표] 1.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화용론과 외국어 학습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담화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유형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4.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 2. 화용론 3. 담화의 유형 4. 비언어적 의사소통 |
|
2차시. 학습의 인지적 과정
[강의 목표] 1.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학습의 인지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학습의 인지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습의 인지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행동주의적 관점 2. 인지주의적 관점 3. 구성주의적 관점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 시험] |
9 |
1차시. 외국어교수 방법의 이해
[강의 목표] 1. 외국어교수 방법의 개념과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교수법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역사적 흐름에 대해 요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외국어교수 방법의 개념과 의의 2. 외국어교수 방법의 역사적 흐름 |
|
2차시. 외국어교수 방법 Ⅰ
[강의 목표] 1. 문법번역식 교수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직접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문법번역식 교수법 2. 직접교수법 |
||
10 |
1차시. 외국어교수 방법 Ⅱ
[강의 목표] 1. 상황 중심 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각구두식 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상황 중심 교수법 2. 청각구두식 교수법 |
|
2차시. 외국어교수 방법 Ⅲ
[강의 목표] 1. 침묵식 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암시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침묵식 교수법 2. 암시 교수법 |
||
11 |
1차시. 외국어교수 방법 Ⅳ
[강의 목표] 1. 전신반응 교수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공동체 언어학습법과 새로운 교수법의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신반응 교수법 2. 공동체 언어학습법 3. 새로운 교수법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외국어교수 방법 Ⅴ
[강의 목표] 1.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과제 중심 접근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내용 중심 접근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2. 과제 중심 접근방법 3. 내용 중심 접근방법 |
||
12 |
1차시. 외국어 학습 유형
[강의 목표] 1. 다양한 학습 유형과 학습의 전이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외국어 학습에서 귀납적 추론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에서 연역적 추론 과정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학습의 유형 2. 전이 과정 3. 귀납적 추론 4. 연역적 추론 |
|
2차시. 학습자 언어 분석
[강의 목표] 1. 학습자 발화 오류분석의 의의를 말할 수 있다. 2.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의 대조 분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중간언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오류분석 2. 대조분석 3. 중간언어 가설 |
||
13 |
1차시. 학습자의 전략
[강의 목표] 1. 외국어 학습에 적용 가능한 학습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전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전략과 전략 중심 지도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학습 전략 2. 의사소통 전략 |
[토론 제출] |
2차시. 외국어 수업에서 상호작용
[강의 목표] 1.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외국어 수업의 담화를 분석할 수 있다. 3. 교사의 발화를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상호작용 분석 2. 담화 분석 3. 수업에서의 교사의 언어 |
||
14 |
1차시. 외국어 학습이론의 적용 Ⅰ
[강의 목표] 1. 입력 가설의 개념과 양적 형태 및 질적 형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미 협상 가설을 살펴봄으로써 의미 협상과 언어습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외국어 학습 연구로서 출력 가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입력 가설 2. 의미 협상 가설 3. 출력 가설 |
|
2차시. 외국어 학습이론의 적용 Ⅱ
[강의 목표] 1. 외국어 학습에서 제안된 여러 가설을 말할 수 있다. 2. 모니터 이론을 해석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대안적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여러 가설들 2. 모니터 이론 3. 대안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