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생산관리 | 지도교수 | 송우석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2-06-22 ~ 2022-10-04(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2-10-19 | 성적보고 완료일 | 2022-10-25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2.10.19 - 2022.10.31 | 학위취득 | 2023년 2월 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e-비즈니스학 전공,경영학 전공,회계학 전공 |
---|---|
전문학사 | 경영 전공,금형제작 전공,산업·정보시스템경영 전공 |
1. 생산운영관리의 정의, 분류, e-비즈니스의 영향 등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개념들을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2. 생산시스템, 의사결정, 모형, 시뮬레이션, 게임이론을 통한 생산운영관리의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생산관리의 장기 계획에 요구되는 수요예측의 종류와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기업 경영에 있어 필요한 비전수립을 위한 제품설계, 공정설계, 생산입지 및 프로젝트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기업 경영활동의 이해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고관리, 전사적 자원관리, 품질관리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서비스업에서의 품질관리 분류방법을 이해하고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6시그마 실행의 효과 및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다.
7. 기업의 세계화를 위한 ISO9000, ISO14000, 국제입지선택의 생산운영 관리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공장자동화와 적시생산시스템, 컴퓨터 통합시스템 등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영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구환경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공해관리의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2-08-12 오전 10:00 ~ 2022-08-15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2-09-30 오전 10:00 ~ 2022-10-03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2-07-20 - 2022-08-23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2-09-16 - 2022-09-19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2-09-02 - 2022-09-05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2-06-22 - 2022-07-12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2-08-17 - 2022-08-30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생산운영관리의 개요
[강의 주제] 생산운영관리의 개요 [강의 목표] 1. 생산운영관리의 정의와 목적을 말할 수 있다. 2. 생산운영관리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3. 생산활동 및 생산관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산운영관리의 정의 2. 생산운영관리의 개념 3. 생산활동 및 생산관리 |
|
2차시. 생산운영관리의 배경
[강의 주제] 생산운영관리의 배경 [강의 목표] 1. 시스템의 개념을 이해하여 생산운영관리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생산시스템을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생산운영관리에서 e-비즈니스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산운영관리 시스템 2. 생산시스템의 분류 및 기타 생산 3. 생산운영관리에서 e-비즈니스의 영향 |
||
2 |
1차시. 생산운영관리의 의사결정
[강의 주제] 생산운영관리의 의사결정 [강의 목표] 1. 의사결정의 개념을 이해하여 의사결정의 특징, 과정,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결정 나무의 개념을 이해하여 의사결정 나무의 구성 요소 및 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산운영관리의 의사결정 2. 의사결정의 계량적 방법 3. 의사결정 나무(DM tree) |
|
2차시. 모형, 시뮬레이션, 게임이론
[강의 주제] 모형, 시뮬레이션, 게임이론 [강의 목표] 1. 모형의 정의, 종류, 경영상의 이용법 및 유의점, 평가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시뮬레이션의 정의, 종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기업경영에 필요한 게임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모형 2. 시뮬레이션 3. 게임이론 |
||
3 |
1차시. 수요의 예측
[강의 주제] 수요의 예측 [강의 목표] 1. 예측의 정의를 이해하여 예측의 종류와 기업의 예측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수요 예측의 개념을 이해하여 수요 예측의 중요성 및 수요 예측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예측(Forecast) 2. 수요의 예측 |
|
2차시. 수요예측의 기법
[강의 주제] 수요예측의 기법 [강의 목표] 1. 수요예측의 주요 기법인 주관적 예측기법과 객관적 예측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주관적 예측기법(질적 기법) 2. 객관적 예측기법(정성적 기법) |
||
4 |
1차시. 제품설계의 의의
[강의 주제] 제품설계의 의의 [강의 목표] 1. 신제품의 정의를 이해하여 신제품 개발을 위한 조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제품 개발을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신제품 개발 의의 2. 제품 개발의 성패 요인 |
|
2차시. 연구개발, 가치분석, 그룹 테크놀로지
[강의 주제] 연구개발, 가치분석, 그룹 테크놀로지 [강의 목표] 1. 연구개발의 정의를 이해하여 연구개발을 위한 단계 및 전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가치분석의 개념, 기능 및 모듈러 생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그룹 테크놀로지의 정의, 목적, 장 · 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연구개발 2. 가치분석 3. 그룹 테크놀로지 |
||
5 |
1차시. 입지의사결정
[강의 주제] 입지의사결정 [강의 목표] 1. 입지의 중요성을 이해하여 입지 결정에 따른 제약과 비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입지론과 해외입지를 중심으로 한 입지 결정을 위한 단계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입지의사결정(Location Decision) 2. 입지결정 단계(입지론, 해외입지) |
|
2차시. 수송 해법, 공급사슬관리
[강의 주제] 수송 해법, 공급사슬관리 [강의 목표] 1. 수송 해법의 정의와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공급사슬관리의 개념과 발전 과정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수송 해법 2. 공급사슬관리 |
||
6 |
1차시. 프로젝트 관리
[강의 주제] 프로젝트 관리 [강의 목표] 1. 프로젝트의 정의를 이해하여 프로젝트의 특성과 작업 순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프로젝트 평가 및 검토를 위한 기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프로젝트 2. 프로젝트 모형 |
|
2차시. 생산계획
[강의 주제] 생산계획 [강의 목표] 1. 총괄생산의 계획을 위한 전략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주생산계획의 개념과 수립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생산시스템의 형태에 따른 일정의 수립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총괄생산계획 2. 주생산계획 3. 생산의 적정관리 |
||
7 |
1차시. 생산통제
[강의 주제] 생산통제 [강의 목표] 1. 생산통제를 위한 주요 기능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작업측정을 위한 다양한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산통제 2. 작업측정 및 표준설정 |
|
2차시. 작업 방법의 설계
[강의 주제] 작업 방법의 설계 [강의 목표] 1. 작업관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작업 방법의 설계를 위한 연구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설비관리, 설비보전, 설비투자의 개념 및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생산운영관리자의 역할, 책무, 자격요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작업지도의 중요성과 그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작업 개선의 특징 및 장해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관리 감독자의 자기계발을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작업 방법의 설계 2. 설비관리 3. 생산운영관리자 4. 작업지도 5. 작업 개선 6. 관리 감독자의 자기변신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재고관리
[강의 주제] 재고관리 [강의 목표] 1. 재고관리의 의의와 목적을 이해하여 재고관리를 위한 요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경제적 주문량을 나타내는 모형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재고관리 2. 경제적 주문량의 모형 |
|
2차시. 재고관리시스템
[강의 주제] 재고관리시스템 [강의 목표] 1. 재고관리시스템의 종류와 재고관리 사용의 제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재소요계획의 개념과 기본원리를 말할 수 있다. 3. 자재소요계획의 기능, 시스템 구조, 관련 이론, 효과 및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재고관리시스템 2. 자재소요계획기법에 의한 재고관리 |
||
10 |
1차시. 전사적 자원관리
[강의 주제] 전사적 자원관리 [강의 목표] 1. 전사적 자원관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특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 경영에 있어서의 품질 관리 문제와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품질관리의 개념과 효과를 이해하고 품질관리를 위한 국가별 발전 과정을 절차에 맞게 기술할 수 있다. 4. ERP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전사적 자원관리 2. 기업의 품질 문제 3. 품질관리 개념과 효과 4. ERP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
2차시. 서비스업에서의 품질관리 및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6시그마
[강의 주제] 서비스업에서의 품질관리 및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6시그마 [강의 목표] 1. 품질의 정의를 이해하고 품질을 관점과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서비스업에서의 품질관리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6시그마의 개념 및 방법론을 학습하여 기업경영의 품질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품질관리의 분류 방법 2. 서비스업에서의 품질관리 3.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6시그마 |
||
11 |
1차시. 6시그마 프로젝트의 실행
[강의 주제] 6시그마 프로젝트의 실행 [강의 목표] 1. 6시그마의 개념과 특성을 말할 수 있다. 2. 학자들이 제시한 6시그마의 프로젝트의 단계를 절차에 맞게 기술할 수 있다. 3. 6시그마 경영 확산의 일반적 확산과정을 이해하고 한국기업의 6시그마 추진 단계를 분석할 수 있다. 4. 6시그마 실행의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6시그마의 특성 2. 6시그마의 프로젝트의 실행절차 3. 6시그마 경영의 확산 4. 6시그마 실행의 효과 및 문제점 |
|
2차시. ISO 9000 · ISO 14000 시리즈 및 기업의 세계화와 업무
[강의 주제] ISO 9000 · ISO 14000 시리즈 및 기업의 세계화와 업무 [강의 목표] 1. 품질경영의 정의와 도입배경을 말할 수 있다. 2. ISO 9000 시리즈의 구성 내용 및 국내 동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ISO 14000 시리즈의 등장 배경 및 표준 규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기업의 세계화를 위한 경영전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품질경영의 정의 2. ISO 9000의 이해 3. ISO 14000 시리즈 4. 기업의 세계화와 업무 |
||
12 |
1차시. 국제입지선택
[강의 주제] 국제입지선택 [강의 목표] 1. 시설입지 결정의 중요성과 입지 선정 시 영향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국제입지선택을 위한 전략 및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독일과 일본의 하부구조 경영 전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국가별 생산전략 및 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시설입지의 의의 2. 국제입지선택 3. 국제하부구조 4. 국제생산전략 및 정책 |
|
2차시. 공장자동화
[강의 주제] 공장자동화 [강의 목표] 1. 공장자동화의 정의를 이해하여 생산시스템 및 자동화 기술의 발전단계를 절차에 맞게 기술할 수 있다. 2. 공장자동화의 목표 달성을 통한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공장자동화 시스템의 개념 및 목적과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공장자동화의 정의 및 발전단계 2. 공장자동화의 목표 3. 공장자동화 시스템 |
||
13 |
1차시. 적시생산시스템
[강의 주제] 적시생산시스템 [강의 목표] 1. 품질혁명시대의 등장배경 및 특징을 말할 수 있다. 2. 적시생산시스템의 개념과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제조와 서비스에서의 적시생산시스템의 핵심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품질혁명시대 2. 적시생산시스템 3. 제조와 서비스의 JIT 핵심구성요소 |
|
2차시. 컴퓨터 통합시스템
[강의 주제] 컴퓨터 통합시스템 [강의 목표] 1. 컴퓨터 지원생산시스템의 개념과 효과를 말할 수 있다. 2. 컴퓨터 통합생산시스템의 개념을 이해하여 공장자동화와 컴퓨터 통합생산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컴퓨터 통합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정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컴퓨터 지원생산시스템 2. 컴퓨터 통합생산시스템의 의의 3. CIM에 대한 정의 |
||
14 |
1차시. 컴퓨터 통합시스템이 제조환경에 미친 영향 및 생산환경의 저변
[강의 주제] 컴퓨터 통합시스템이 제조환경에 미친 영향 및 생산환경의 저변 [강의 목표] 1. 컴퓨터 통합시스템이 제조환경에 미친 영향과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2. 생산환경의 동기를 이해하여 국내 환경산업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컴퓨터 통합시스템이 제조환경에 미친 영향 2. 생산환경의 저변 3.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구환경문제 |
|
2차시. 공해(자원고갈 및 환경오염)
[강의 주제] 공해(자원고갈 및 환경오염) [강의 목표] 1. 정부와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공해관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생산경영을 통해 공해관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천재지변에 대비한 안정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생산과 공해의 문제 2. 생산경영과 공해관리 3. 천재지변과 안정공급의 위험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