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대인관계의심리학 | 지도교수 | 허성호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3-11-15 ~ 2024-02-27(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4-03-13 | 성적보고 완료일 | 2024-03-19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4.04.01 10:00 ~ 2024.04.30 17:00 | 학위취득 | 2024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심리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4-01-05 오전 10:00 ~ 2024-01-08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4-02-23 오전 10:00 ~ 2024-02-26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3-12-13 - 2024-01-16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4-02-09 - 2024-02-12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4-01-26 - 2024-01-29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3-11-15 - 2023-12-05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4-01-10 - 2024-01-23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대인관계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강의 목표] 1. 삶과 대인관계에 대한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의 진정한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삶과 대인관계 2. 의사소통의 의미 |
[수업보조자료] - 교안(강의노트) - 음성파일(mp3) 다운로드 제공(전 주차 적용) |
2차시. 대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
[강의 목표] 1. 의사소통의 신체적 욕구와 정체성 욕구를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의 사회적 욕구와 실제적 욕구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신체적 욕구와 정체성 욕구 2. 사회적 욕구와 실제적 욕구 |
||
2 |
1차시. 대인 간 의사소통 개관
[강의 목표] 1. 의사소통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의 원리와 오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의사소통의 다양한 관점 2. 의사소통의 원리와 오해 |
[보충학습자료] - 설득과 관련된 자료 |
2차시. 의사소통의 특성
[강의 목표] 1. 소셜 미디어의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역량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소셜 미디어 2. 의사소통 역량 |
||
3 |
1차시. 의사소통과 정체성 Ⅰ
[강의 목표] 1. 자아존중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기개념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아존중감 2. 자기개념의 특성 |
|
2차시. 의사소통과 정체성 Ⅱ
[강의 목표] 1. 문화, 성별 정체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자기충족적 예언과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문화, 성별, 정체성 2. 자기충족적 예언과 의사소통 |
||
4 |
1차시. 자기 제시
[강의 목표] 1. 자의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체성 관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의식 2. 정체성관리 |
|
2차시. 자기 노출
[강의 목표] 1. 자기 노출 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기 노출의 혜택과 위험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기노출 모형 2. 자기노출의 혜택과 위험 |
||
5 |
1차시. 지각이란 무엇인가?
[강의 목표] 1. 지각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지각과정 2.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2차시. 지각의 특성
[강의 목표] 1. 자기 지각의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공감과 의사소통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자기 지각의 요인 2. 공감 및 의사소통 |
||
6 |
1차시. 정서란 무엇인가?
[강의 목표] 1. 정서의 다양한 설명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서의 다양한 설명 요소 2.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2차시. 정서 경험과 관리
[강의 목표] 1.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힘든 정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정서 대처하기 2. 힘든 정서 관리하기 |
||
7 |
1차시. 상징으로서의 언어
[강의 목표] 1. 이해와 오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언어의 영향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이해와 오해 2. 언어의 영향력 |
|
2차시. 언어의 다양성
[강의 목표] 1. 성별에 따른 언어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2. 문화에 따른 언어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성별과 언어 2. 문화와 언어 |
||
8 |
중간시험
범위 : 1주차~7주차 |
정기시험 |
9 |
1차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Ⅰ
[강의 목표] 1.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의사소통 기술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영향 |
|
2차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Ⅱ
[강의 목표]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중 몸의 움직임, 면접에서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목소리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중 외모, 물리적 공간, 물리적 환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Ⅰ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Ⅱ |
||
10 |
1차시. 듣기
[강의 목표] 1. 듣기의 정의에 대해 말할 수 있다. 2. 듣기의 과정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듣기의 정의 2. 듣기의 과정 요소 |
|
2차시. 듣기의 유형
[강의 목표] 1. 비효율적인 듣기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듣기 반응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비효율적인 듣기의 유형 2. 듣기 반응의 유형 |
||
11 |
1차시. 의사소통과 관계역동
[강의 목표] 1. 관계를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상대방에게 호감을 얻는 방법과 매력을 어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2. 관계역동에 대한 모형을 발달적 관점과 변증법적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관계를 형성하는 이유 2. 관계역동 모형 |
[쪽지시험] 1) 출제범위 : 1~10주차 강의 2) 시험문제 : 객관식 5문항 |
2차시. 의사소통과 관계의 특성
[강의 목표] 1. 관계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관계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관계의 특징 2. 관계에서의 의사소통 |
||
12 |
1차시. 친밀한 관계
[강의 목표] 1. 가까운 관계에서의 친밀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 내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가까운 관계에서의 친밀감 2. 가족 내에서의 의사소통 |
[보충학습자료] - 부적응적 인간관계와 관련된 자료 |
2차시. 우정과 연인
[강의 목표] 1. 친구관계와 연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친밀한 관계의 개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친구관계와 연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 2. 친밀한 관계의 개선 |
||
13 |
1차시. 의사소통과 분위기
[강의 목표] 1. 의사소통 분위기와 존중 지향 메시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방어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의사소통 분위기와 존중 지향 메시지 2. 방어 : 원인과 치료 |
[토론] 1. 소셜미디어가 의사소통활성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논의하시오. 2. 자기(Self)의 구성이 대인관계의 조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관계적 갈등을 해소하고자 할 때 문제중심적 전략과 정서중심적 전략 중 어느 것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가? |
2차시. 의사소통의 방어
[강의 목표] 1. 의사소통의 방어 중 체면 세우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비판에 대한 비방어적 반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체면 세우기 2. 비판에 대한 비방어적 반응 |
||
14 |
1차시. 대인갈등 및 대처
[강의 목표] 1. 갈등의 본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갈등 해결 스타일을 말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갈등의 본질 2. 갈등 해결 스타일 |
|
2차시. 갈등유형의 변인
[강의 목표] 1. 직장, 가정 등 관계적 시스템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2.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으로 문제해결의 협상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 세부내용] 1. 관계적 시스템에서의 갈등 2. 건설적 갈등 |
||
15 |
기말시험
범위 : 9주차~14주차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