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여성학 | 지도교수 | 박인혜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4-01-10 ~ 2024-04-23(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4-05-08 | 성적보고 완료일 | 2024-05-14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4.07.01(월) 10:00 ~ 2024.07.31(수) 17:00 | 학위취득 | 2024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 |
---|---|
전문학사 | 교양,생활교양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4-03-01 오전 10:00 ~ 2024-03-04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4-04-19 오전 10:00 ~ 2024-04-22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4-02-07 - 2024-03-12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4-04-05 - 2024-04-08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4-03-22 - 2024-03-25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4-01-10 - 2024-01-30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4-03-06 - 2024-03-19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왜 ‘여성학’인가?
[강의목표] 1. 여성학이라는 학문의 특성과 연구방법 및 과제에 대해 이해하고 제시할 수 있다. 2. 여성학이라는 학문의 등장과 발전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여성학을 학습한 후 얻게 될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학의 학문적 특징 2. 여성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 3. 여성학 학습의 기대효과 |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서구 근대사상과 페미니즘의 탄생
[강의목표] 1. 페미니즘이란 용어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페미니즘 제1물결이 탄생하게 된 서구의 사회상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페미니즘 제1물결의 주요 흐름과 여성운동가들의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페미니즘이란 용어의 이해 2. 근대사상의 사회적 배경 3. 페미니즘 제1물결(제1기 여성운동): 이론과 실천 |
||
2 |
1차시. 근대성의 성찰과 서구 페미니즘의 발전
[강의목표] 1. 페미니즘 제2물결이 탄생하게 된 후기 산업사회의 상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페미니즘 제2물결의 주요 흐름과 여성운동가들의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성차별과 젠더 개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후기 산업사회의 특징 2. 페미니즘 제2물결(제2기 여성운동) : 이론과 실천 3. 성차별과 젠더 개념의 도입 |
|
2차시. 탈산업사회와 서구 페미니즘의 분화
[강의목표] 1. 페미니즘 제3물결이 태동하게 된 탈산업사회의 상황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젠더 개념의 분화과정과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페미니즘 제3물결의 주요 흐름과 여성운동가들의 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후기 산업사회의 분화 2. 젠더 개념의 변화 3. 페미니즘 제3물결(페미니즘의 분화) : 이론과 실천 |
||
3 |
1차시. 성차와 성역할 사회화
[강의목표] 1. 성차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이해하고 제시할 수 있다. 2. 성차가 성역할 고정관념의 기반이 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3. 성역할 사회화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성차의 이해 2. 성역할 고정관념 3. 성역할 사회화 |
|
2차시. 여성폭력에 대한 이해
[강의목표] 1. 국제사회에서 여성폭력이 인권문제로 인정받게 된 과정과 그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여성폭력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재생산, 유지 기제임을 설명할 수 있다. 3. 성폭력특별법 제정 과정에서 발생한 성폭력 개념 논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폭력의 정의 2. 여성폭력의 속성 3. 성폭력 개념 논쟁 |
||
4 |
1차시. 성폭력과 성적 자기결정권
[강의목표] 1. 성적 자기결정권의 조건과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성폭력과 성관계의 차이와 의미를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다. 3. 성적 동의의 개념과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성적 자기결정권의 이해 2. 성폭력과 성관계의 경계 3. 성적 동의의 개념과 한계 |
|
2차시. 여성폭력의 실제Ⅰ
[강의목표] 1. 아내폭력과 가정폭력의 용어 차이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데이트폭력과 스토킹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내폭력 2. 데이트폭력 3. 스토킹 |
||
5 |
1차시. 여성폭력의 실제Ⅱ
[강의목표] 1. 성매매 관련 이슈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포르노의 산업화, 대중화의 문제를 이해하고 제시할 수 있다. 3. 사이버 성폭력(디지털 성폭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성매매 2. 포르노그라피 3. 사이버 성폭력(디지털 성폭력) |
[과제 제출] |
2차시. 가부장제와 남성되기
[강의목표] 1.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요구하는 성역할과 그것이 남성에게도 억압적임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부장제는 여성과 성을 타자화(여성혐오)하여 남자다운 남자를 만든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3. 군사주의는 억압적인 조직문화와 폭력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가부장제와 남성의 역할 2. 남자다운 남자되기 3. 군사주의와 군대문화 |
||
6 |
1차시. 정체성과 몸의 정치학
[강의목표] 1. 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형성할 수 있다. 2. 여성의 몸과 정체성 관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몸은 중성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인 것임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몸에 대한 관점 2. 몸과 정체성 3. 몸의 정치학 |
|
2차시. 소비사회와 여성의 몸
[강의목표] 1. 소비사회에서 여성의 몸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2. 꾸밈노동과 본질을 이해하고 탈코르셋운동의 배경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몸관리 이데올로기 2. 꾸밈노동과 탈코르셋운동 |
||
7 |
1차시. 여성의 재생산권과 국가의 출산통제
[강의목표] 1. 여성의 재생산권 확보 운동의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확립된 재생산권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국가의 출산통제 과정에서 여성의 몸이 도구화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의 재생산권 확보 운동 2. 국가와 출산통제 |
|
2차시. 여성의 재생산권과 과학기술
[강의목표] 1. 낙태와 피임 과정에서 여성의 몸이 도구화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불임치료를 위한 생명공학기술에서 여성의 재생산권이 침해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대리모 사업이 시장화되고 지구화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낙태와 피임의 정치학 2. 생명공학 기술과 재생산권 3. 대리모 사업의 지구화 |
||
8 |
중간고사
|
[정기 시험] |
9 |
1차시. 사랑과 연애
[강의목표] 1. 사랑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사랑도 구성된 것임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소비자본주의가 낳은 왜곡된 사랑과 연애 현상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3. 낭만적 사랑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과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사랑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사랑에 대한 이해 2. 왜곡된 사랑과 연애 3. 페미니스트가 추구하는 사랑 |
|
2차시. 근대 가족의 탄생과 특성
[강의목표] 1. 가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근대 가족의 탄생과정과 특성을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가족의 이해(가족의 순기능, 역기능, 가족의 해체) 2. 근대 가족의 탄생 3. 근대 가족의 특성 |
||
10 |
1차시. 한국 근대 가족의 성립과 변화
[강의목표] 1. 한국 가부장제의 성립과 발전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현대 한국 가족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개인화 시대의 가족의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한국 근대 가족의 성립과 변화과정 2. 한국 가족의 특성 3. 개인화와 가족의 변화 |
|
2차시. 지구화와 여성
[강의목표] 1. 지구화와 다문화주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노동이주, 결혼이주, 북한이탈이주 등 다양한 이주의 여성화 현상들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지구화와 이주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지구화와 다문화주의 2. 이주의 여성화(노동이주, 결혼이주, 북한이탈이주) 3. 지구화와 가족의 변화 |
||
11 |
1차시. 여성과 노동
[강의목표] 1. 노동의 역사적인 의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2. 남성중심적인 노동개념과 노동체계에 대하여 페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여성의 입장에서 노동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노동의 이해 2. 노동개념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3. 노동개념의 재구성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일하는 여성의 현실
[강의목표] 1. 세계 속의 한국 여성들의 경제활동 현황을 설명할 수 있다. 2. 유리천장, 경력단절, 감정노동 등 여성노동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여성의 노동권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 경제활동 현황 2. 성차별적인 여성노동 3. 직장 내 성차별과 성희롱, 괴롭힘 |
||
12 |
1차시. 돌봄과 여성의 노동권
[강의목표] 1. 돌봄노동의 성격과 가치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돌봄이 가정에서 사회로 이전된 후 돌봄노동의 현실을 설명할 수 있다. 3. 돌봄노동 문제점의 극복 방향으로 제안되고 있는 돌봄 민주주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돌봄노동의 이해 2. 돌봄노동의 사회화 현실 3. 돌봄 민주주의 |
|
2차시. 여성과 국가
[강의목표] 1. 다양한 국가 이론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국가 이론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비판을 설명할 수 있다. 3. 복지국가의 기능과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국가의 이해 2. 페미니즘 국가 이론 3. 복지국가 비판 |
||
13 |
1차시. 여성과 법
[강의목표] 1. 법에 대한 페미니즘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남성중심적 법적 논리에서 여성주의적 법적 논리로의 전환을 도모하는 법여성학의 개념과 법제개정운동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3. 정당방위, 명예훼손 등 남성 경험에 기반한 법개념의 적용사례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법에 대한 여성들의 입장 2. 법여성학과 법제개정운동 3. 남성중심적 법 적용의 사례 |
[토론 제출] |
2차시. 여성정책
[강의목표] 1. 여성정책의 개념과 발전과정에 대해서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2. 세계 여성정책의 발전을 주도해 온 유엔의 여성발전 전략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 여성정책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정책의 이해 2. 유엔 여성전략 3. 한국 여성정책의 발전 |
||
14 |
1차시. 한국여성운동의 탄생과 발전
[강의목표] 1. 사회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근대 시기 한국에서 태동한 여성들의 활동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3. 민주화 시기 여성운동의 발전과 성장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여성운동의 이해 2. 한국여성운동의 탄생 3. 한국여성운동의 성장 |
|
2차시. 한국 페미니즘의 새로운 지형
[강의목표] 1. 2000년대 초 여성운동의 위기담론의 대두와 그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2. 2010년대 중반 새로운 페미니스트의 출현과정과 이슈, 활동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3. 민주주의와 성평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한국여성운동 위기담론 2. 한국 페미니즘의 기회와 전망 3. 민주주의와 성평등 |
||
15 |
기말고사
|
[정기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