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상담심리학 | 지도교수 | 김혜민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5-02-05 ~ 2025-05-20(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5-06-04 | 성적보고 완료일 | 2025-06-10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5.07.01.(화) 10:00 ~ 2025.07.31(목) 17:00 | 학위취득 | 2025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교양,노년학 전공,심리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군사행정 전공,군수관리 전공,생활교양 전공,지상전 전공,항공기술 전공,항공작전 전공,해상전 전공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5-03-28 오전 10:00 ~ 2025-03-31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5-05-16 오전 10:00 ~ 2025-05-19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5-03-05 - 2025-04-08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5-05-02 - 2025-05-05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5-04-18 - 2025-04-21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5-02-05 - 2025-02-25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5-04-02 - 2025-04-15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상담의 기본개념
[강의목표] 1. 상담의 정의와 상담의 3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2. 상담과 생활지도, 심리치료와의 차이점을 제시할 수 있다. 3. 상담에서 무엇이 이루어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4. 상담이론의 의미와 필요성, 평가기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상담의 정의와 상담의 3요소 2. 상담과 생활지도, 심리치료와의 비교 3. 상담에서 무엇이 이루어지는가? 4. 상담이론의 의미와 필요성, 평가기준 |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 강의교안(PDF) - 오디오(MP3) 3) 퀴즈 - OX퀴즈 1문항 -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 이해와 초보 상담자가 직면한 문제
[강의목표] 1.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2. 초보 상담자가 직면한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 2. 초보 상담자가 직면한 문제 |
||
2 |
1차시. 정신분석적 치료 Ⅰ
[강의목표] 1. 정신분석에서의 인간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신분석에서 제시하는 성격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신분석에서의 의식과 무의식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자아방어기제가 왜 일어나는지 설명할 수 있다. 5. 정신분석에서 제시하는 성격발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정신분석에서의 인간관 2. 정신분석에서의 성격구조 3. 정신분석에서의 의식과 무의식 4. 자아방어기제 5. 성격발달 |
|
2차시. 정신분석적 치료 Ⅱ
[강의목표] 1. 정신분석의 치료기법과 절차를 제시할 수 있다. 2. 자아심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대상관계이론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자기심리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5. 정신분석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정신분석의 치료기법과 절차 2. 자아심리학 3. 대상관계이론 4. 자기심리학 5. 정신분석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3 |
1차시. 아들러 학파(개인심리학)의 심리치료
[강의목표] 1. 아들러 학파의 인간관과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아들러 학파 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아들러 학파의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아들러 학파 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들러 학파 치료의 이해 2. 아들러 학파 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아들러 학파 치료기법의 적용 4. 아들러 학파 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2차시. 분석심리학적 치료
[강의목표] 1. 분석심리학에서의 성격구조와 성격유형, 성격발달을 설명할 수 있다. 2. 분석심리학 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분석심리학의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분석심리학 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분석심리학 치료의 이해 2. 분석심리학 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분석심리학 치료기법의 적용 4. 분석심리학 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4 |
1차시. 인간중심 치료
[강의목표] 1. 인간중심 치료의 기본 가정과 학자별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간중심 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간중심의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인간중심 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인간중심 치료의 이해 2. 인간중심 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인간중심 치료기법의 적용 4. 인간중심 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2차시. 게슈탈트 치료
[강의목표] 1. 게슈탈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게슈탈트의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게슈탈트 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게슈탈트 치료의 이해 2.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게슈탈트 치료기법의 적용 4. 게슈탈트 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5 |
1차시. 행동치료
[강의목표] 1. 행동치료의 사회적 학습이론과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행동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행동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행동치료의 공헌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행동치료의 이해 2. 행동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행동치료기법의 적용 4. 행동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과제 제출] |
2차시. 인지치료
[강의목표] 1. 인지치료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과 인지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지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지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인지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인지치료의 이해 2. 인지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인지치료기법의 적용 4. 인지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6 |
1차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강의목표] 1.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 인간 정서에 대한 관점, 성격에 대한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합리적 정서행동의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공험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이해 2.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기법의 적용 4.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2차시. 현실치료
[강의목표] 1. 현실치료에서의 기본적 욕구와 인간 행동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현실치료의 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현실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현실치료의 공헌점과 한계 및 비판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현실치료의 이해 2. 현실치료의 목표 및 원리 3. 현실치료기법의 적용 4. 현실치료의 공헌, 한계 및 비판 |
||
7 |
1차시. 다문화 상담
[강의목표] 1. 다문화 상담에서의 특권, 억압, 차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다문화 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3. 다문화 상담 역량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상담 기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다문화 상담의 이해 2. 다문화 상담의 필요성 3. 다문화 상담 역량 |
|
2차시. 동양 심리치료
[강의목표] 1.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수용전념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마음챙김 2. 수용전념치료(ACT) |
||
8 |
중간고사
|
[정기시험] |
9 |
1차시. 상담방법
[강의목표] 1.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라포의 개념을 이해하고 상담자와 내담자의 라포 형성을 촉진시키는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역전이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상담자의 기본적 태도 2. 라포 개념 및 촉진적 조건 3. 역전이 개념 4. 역전이 관리 |
|
2차시. 상담과정 모델과 단계
[강의목표] 1. 상담과정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2. 상담과정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상담과정의 모델 2. 상담과정의 단계 |
||
10 |
1차시. 상담자 윤리
[강의목표] 1.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윤리강령을 제시할 수 있다. 2.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의 직업윤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내담자의 권리와 상담자의 책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윤리강령 2. 상담 및 심리치료의 직업윤리 3. 내담자의 권리와 상담자의 책임 |
|
2차시. 상담 수퍼비전
[강의목표] 1. 수퍼비전의 정의와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수퍼비전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3. 수퍼비전에서의 윤리를 설명할 수 있다. 4. 수퍼비전에서의 진행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수퍼비전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수퍼비전의 개요 2. 수퍼비전의 이론적 모델 3. 수퍼비전의 윤리 4. 수퍼비전의 실제 |
||
11 |
1차시. 집단상담 Ⅰ
[강의목표] 1. 집단상담의 개념을 이해하고 개인상담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집단상담의 구성 및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집단상담을 계획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집단상담의 개요 2. 집단상담의 구성 및 과정 |
[쪽지시험 응시] |
2차시. 집단상담 Ⅱ
[강의목표] 1. 아동을 위한 집단상담의 지침과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의 특징을 고려하는 집단상담의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4. 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집단상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3.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4.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
||
12 |
1차시. 단기상담 Ⅰ
[강의목표] 1. 단기 역동적 심리치료의 일반주제를 제시할 수 있다. 2. TLDP 모델의 전제와 목표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단기 역동적 심리치료의 일반주제 2. TLDP 모델의 전제와 목표 |
|
2차시. 단기상담 Ⅱ
[강의목표] 1. 단기상담에서의 사례 개념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단기상담에서 환자 선별 준거와 순환적 부적응 패턴의 재연을 설명할 수 있다. 3. 치료자의 자세를 제시할 수 있다. 4. 단기상담의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사례 개념화 2. 환자 선별 준거와 순환적 부적응 패턴의 재연 3. 치료자의 자세 4. 단기상담의 기법 |
||
13 |
1차시. 가족상담 Ⅰ
[강의목표] 1. 가족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2. 가족상담의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상담의 도입 및 진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가족상담의 필요성 2. 가족상담의 원리 3. 가족상담의 도입 및 진행 |
[토론 제출] |
2차시. 가족상담 Ⅱ
[강의목표] 1. 보웬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을 이해하고 가계도를 제시할 수 있다.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보웬 가족치료 2. 구조적 가족치료 3.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
||
14 |
1차시. 위기상담 Ⅰ
[강의목표] 1. 위기상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자살 위기 내담자를 이해하고 필요한 개입을 제시할 수 있다. 3. 비자살적 자해 내담자를 이해하고 필요한 개입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위기상담의 특징 2. 자살 위기 내담자 3. 비자살적 자해 내담자 |
|
2차시. 위기상담 Ⅱ
[강의목표] 1. 폭력피해를 겪은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효과적인 개입을 제시할 수 있다. 2. 상실을 겪은 내담자에게 필요한 상담적 개입을 제시할 수 있다. 3. 아웃팅 또는 혐오폭력을 겪은 성소수자 내담자에게 필요한 안전한 상담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폭력피해 내담자 2. 상실을 겪은 내담자 3. 성소수자 내담자 - 아웃팅, 혐오폭력 |
||
15 |
기말고사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