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 청소년활동론 | 지도교수 | 손보라 |
---|---|---|---|
수업방식 | 이론중심 | 학점 | 3학점 |
학습기간 | 2025-02-05 ~ 2025-05-20(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 ||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 2025-06-04 | 성적보고 완료일 | 2025-06-10 |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 2025.07.01.(화) 10:00 ~ 2025.07.31(목) 17:00 | 학위취득 | 2025년 8월 후기 |
중간 | 기말 | 과제 | 토론 | 쪽지 | 참여 | 출석 |
---|---|---|---|---|---|---|
30점 | 30점 | 10점 | 5점 | 5점 | 5점 | 15점 |
학사 | 청소년학 전공 |
---|---|
전문학사 | - |
A등급 | B등급 | C등급 이하 |
---|---|---|
20% ~ 30% | 30% ~ 40% | 30% ~ 50% |
구분 | 평가기간 | 비고 | |
---|---|---|---|
중간고사 |
2025-03-28 오전 10:00 ~ 2025-03-31 오후 10:00 |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기말고사 |
2025-05-16 오전 10:00 ~ 2025-05-19 오후 10:00 |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
|
과제 |
2025-03-05 - 2025-04-08 (AM 10:00 – PM 22:00) |
||
토론 |
2025-05-02 - 2025-05-05 (AM 10:00 – PM 22:00) |
||
쪽지 |
2025-04-18 - 2025-04-21 (AM 10:00 – PM 22:00) |
||
참여 | 나의학습계획 |
2025-02-05 - 2025-02-25 (AM 10:00 – PM 22:00) |
|
소개서/중간평가 |
2025-04-02 - 2025-04-15 (AM 10:00 – PM 22:00) |
주차 | 학습내용 | 학습활동 |
---|---|---|
1 |
1차시. 청소년활동의 이해 1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의 법적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론의 이해 2. 청소년활동의 법적 개념 |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강의교안 (PDF)- 오디오(MP3) 3) 퀴즈- OX퀴즈 1문항-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
2차시. 청소년활동의 이해 2
1. 학교 교육과정의 비교과활동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사업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3. 일반적 개념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4. 청소년활동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학교 교육과정의 비교과활동으로서의 청소년활동 2. 청소년사업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의 개념 이해 3. 일반적 개념으로서의 청소년활동 이해 4. 청소년활동 개념의 비판적 성찰 및 새로운 시도 |
||
2 |
1차시. 청소년발달과 청소년개발
[강의목표] 1. 청소년발달의 개념과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발달과 청소년개발의 개념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발달의 개념과 원리 2. 청소년발달과 청소년개발의 개념적 차이 |
|
2차시.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 1
[강의목표] 1. 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개발의 목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의의 2. 청소년개발의 목표 |
||
3 |
1차시.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 2
[강의목표] 1. 청소년개발 내용과 작동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의 활성화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개발의 내용과 작동체계 2.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의 활성화 |
|
2차시. 청소년활동의 영역과 유형
[강의목표] 1. 청소년정책에서의 청소년활동영역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학교교육에서의 청소년활동영역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활동현장에서의 청소년활동영역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정책에서의 청소년활동영역과 유형분류 2. 학교교육에서의 청소년활동과 유형 분류 3. 청소년활동현장에서의 청소년활동영역과 유형 분류 |
||
4 |
1차시. 청소년활동의 이론 1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의 과정적 측면과 관련된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2. 교육참여 의사결정 모델에 기초하여 청소년활동 참여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기초 2. 청소년활동 참여의 이론적 기초 |
|
2차시. 청소년활동의 이론 2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 이론 중 경험학습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이론 중 몰입경험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경험학습이론 2. 몰입경험이론 |
||
5 |
1차시.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가치 1
[강의목표] 1. 청소년기 발달과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의 역량개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기의 발달과 청소년활동의 필요성 2. 청소년의 역량 |
[과제제출] |
2차시.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가치 2
[강의목표] 1.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의 역량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 역량별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 2. 청소년활동과 역량개발 3.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와 의미 |
||
6 |
1차시.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1
[강의목표] 1. 한국 청소년활동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2. 근대 이후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한국 청소년활동의 역사적 변천 2. 근대 이후 청소년활동 발전과정 |
|
2차시.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2
[강의목표] 1. 해방 이후 한국사회 청소년정책 특성과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학교 교육과정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해방 이후 한국사회 청소년정책 특성과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2. 학교 교육과정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의 발전과정 |
||
7 |
1차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1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의미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의미와 특성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 |
|
2차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2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 과정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사례 |
||
8 |
중간고사
|
[정기시험] |
9 |
1차시. 청소년활동의 장 1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의 장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단체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의 장 2. 청소년단체 |
|
2차시. 청소년활동의 장 2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시설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관련 기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시설 2. 청소년활동기관 |
||
10 |
1차시. 청소년지도자
[강의목표] 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지도자의 역할과 직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과 유형 2. 청소년지도자의 역할과 직무 |
|
2차시. 청소년활동지도자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지도사의 양성체계와 과정을 제시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지도자의 리더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지도자의 양성 2. 청소년활동지도자의 리더십 |
||
11 |
1차시. 청소년활동과 안전 1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원인과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개념 2.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원인과 유형 |
[쪽지시험] |
2차시. 청소년활동과 안전 2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관련 법령과 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과 청소년활동 안전교육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관련 법령과 정책 2.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과 청소년활동 안전교육 |
||
12 |
1차시. 청소년활동의 법적 기반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진흥의 법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시설 설치·운영 등의 법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과 지원 등의 법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4. 청소년지도자 양성 및 교육 등의 법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진흥의 법적 근거 2. 청소년활동시설 설치·운영 등의 법적 근거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과 지원 등의 법적 근거 4. 청소년지도사 양성 및 교육 등의 법적 근거 |
|
2차시. 청소년활동진흥 관련 제도적 기반
[강의목표] 1.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제도 2.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도 |
||
13 |
1차시. 청소년 활동의 실제 1
[강의목표] 1. 청소년문화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자치(참여)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문화활동 2 청소년수련활동 3 청소년자치(참여)활동 |
[토론제출] |
2차시. 청소년 활동의 실제 2
[강의목표] 1. 청소년교류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청소년방과후활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교류활동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 3 청소년방과후활동 |
||
14 |
1차시. 청소년활동의 현황과 과제
[강의목표] 1. 청소년활동의 현황과 청소년활동 도입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미래지향적 청소년활동이 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2. 미래지향적 청소년활동의 발전방향 |
|
2차시. 청소년활동과 지속가능발전목표
[강의목표]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활동 측면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 2. 청소년활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
15 |
기말고사
|
[정기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