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강의계획서

전공과목안내

전공과목안내
과정명 미술치료 지도교수 이효진
수업방식 이론중심 학점 3학점
학습기간 2025-06-18 ~ 2025-09-30(총 15주) 학습목차 바로가기
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2025-10-15 성적보고 완료일 2025-10-21
학점인정신청 가능일(온라인) 2025.10.22.(수) 10:00 ~ 2025.10.31.(금) 17:00 학위취득 2026년 2월 전기

성적 산출 기준

성적 산출 기준표
중간 기말 과제 토론 쪽지 참여 출석
30점 30점 10점 5점 5점 5점 15점
  1. [과목 미수료 기준]
    • 출석률 80% 미만
    • 정기시험(중간고사/기말고사)을 모두 미응시
    • 상대평가 환산점수 60점 미만
    • ※ 단, 수강인원이 10명 미만인 학습과정 및 실습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평가를 아니할 수 있음

  2. [유의사항]
    • 시험 대체 수단 없음
    • 시험응시기회 1회
    • 출결에 관한 지각처리 없음

  3. [공동 인증서 로그인 필요]
    • 내 강의실 이용시 개인정보 보호와 ID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요

  4. 상대평가 시행안내
    • 국가평생교육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 2016.1.6일 제정 및 2016년 1월1일 시행)의 변경에 따라
      2016년도 1학기 과정부터 성적 평가가 기존의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전환되게 되었습니다.

    • 에듀업원격평생교육원에서는 A등급 20% ~ 30%, B등급 30% ~ 40%, C등급이하 30% ~ 50%의 범위로 점수를 배정하려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 상대평가 시행안내 바로가기

관련전공소개

관련전공소개
학사 교양,상담학 전공,아동미술학 전공,아동학 전공
전문학사 교양,미술 전공,아동ㆍ가족 전공

수업개요

미술은 심적 통제를 덜 받는 비언어적 심상 표현의 수단으로, 미술치료에서 창작물이란 단순한 조형작품이 아니라 그 사람을 나타내는 의사소통의 통로이다. 미술작업을 통해 내담자의 부정적인 에너지를 배출, 갈등을 해소하고 삶을 화해와 긍정적 에너지로 바꾸도록 돕는다. 미술치료와 심리치료의 개념을 비교하고,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관련성 및 역사를 포함한 미술치료의 전반적인 내용을 논의한다. 미술치료를 위한 매체의 다양성과 색채이론의 이해, 아동 미술 발달단계 등 전문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미술치료 워크숍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치료적 관점과 다양한 미술치료 과정을 탐구한다. 미술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치료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수업목표

1. 미술치료와 심리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역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매체를 탐색하고, 매체를 임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4. 색채이론을 이해하고 미술치료에서의 색채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5. 미술치료의 다양한 진단 기법을 이해하고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6. 연령별 미술치료 대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령에 맞게 미술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7. 다양한 미술치료 기법을 이해하고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8. 다양한 미술치료 사례를 살펴 보고, 실제 임상 현상을 습득하여 실제 치료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성적분포

성적분포
A등급 B등급 C등급 이하
20% ~ 30% 30% ~ 40% 30% ~ 50%

평가기간

평가기간
구분 평가기간 비고
중간고사 2025-08-08 오전 10:00
~
2025-08-11 오후 10:00
1주차 – 7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기말고사 2025-09-26 오전 10:00
~
2025-09-29 오후 10:00
9주차 – 14주차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과제 2025-07-16 - 2025-08-19
(AM 10:00 – PM 22:00)
토론 2025-09-12 - 2025-09-15
(AM 10:00 – PM 22:00)
쪽지 2025-08-29 - 2025-09-01
(AM 10:00 – PM 22:00)
참여 나의학습계획 2025-06-18 - 2025-07-08
(AM 10:00 – PM 22:00)
소개서/중간평가 2025-08-13 - 2025-08-26
(AM 10:00 – PM 22:00)

과제

※ 아래 과제 주제는 변경될 수 있으며, 확정된 과제 주제 및 구체적인 내용은 [강의실 > 과제]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간단한 미술작업을 해 보고 작업의 제목을 정한후 작품에 대한 나를 표현하는 글을 10문장 으로 써 보기(작품 사진 첨부)

학습목차

학습목차
주차 학습내용 학습활동
1 1차시. 미술치료의 이해
[강의목표]
1. 심리치료와 미술치료의 각각의 개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의 분류와 명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와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심리치료와 미술치료의 각각의 개념과 차이점
2. 미술치료의 분류와 명칭
3.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와의 관련성과 차이점
[전 차시 공통 제공]

1) 동영상 강의-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디지털 판서

2) 학습자료- 강의교안(PDF)- 오디오(MP3)

3) 퀴즈- OX퀴즈 1문항- 객관식(사지선다) 2문항
2차시. 미술치료의 역사와 미술치료에서의 상징
[강의목표]
1. 미술치료의 역사가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 중요한 개념인 공간 상징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미술치료에서의 선과 형태의 상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의 역사
2. 미술치료에서의 공간 상징
3. 미술치료에서의 선과 형태의 상징
2 1차시. 미술치료의 이론적 모델(1)
[강의목표]
1.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개념
2.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
3.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개념
4.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
2차시. 미술치료의 이론적 모델(2)
[강의목표]
1. 행동주의적 미술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행동주의적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행동주의적 미술치료의 개념
2. 행동주의적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
3.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개념
4.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치료 목표와 기법
3 1차시. 미술치료에서의 매체(1)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의 매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회화 매체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미술치료에서 활용가능한 회화 매체의 사례를 통해 사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에서의 매체
2. 미술치료에서의 회화 매체의 종류와 특성
3. 활용가능한 회화 매체 사례
2차시. 미술치료에서의 매체(2)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입체와 점토 매체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의 입체와 점토 매체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다양한 입체와 점토 매체의 사례를 통해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에서의 입체와 점토 매체의 종류
2. 미술치료에서의 입체와 점토 매체의 특성
3. 다양한 입체와 점토 매체 사례
4 1차시. 아동 미술 발달단계(1)
[강의목표]
1. 아동화의 그리기의 시작과 상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아동화의 표현 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아동화의 투사적 기능과 상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동화 그림의 시작과 아동화의 상징
2. 아동화 표현 상의 특징
3. 아동화의 투사적 기능과 상징
2차시. 아동 미술 발달단계(2)
[강의목표]
1. 로웬펠드(Lowenfeld)와 켈로그(Kellogg)의 미술발달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발달적 미술치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발달단계별 미술치료적 개입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로웬펠드(Lowenfeld)와 켈로그(Kellogg)의 미술발달단계
2. 발달적 미술치료
3. 발달단계별 미술치료적 개입
5 1차시. 색채와 미술치료(1)
[강의목표]
1. 색채의 개념과 분류, 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의 색채의 치유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색채 인지의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색채의 개념과 분류, 속성
2. 색채 치유의 개념
3. 색채 인지의 발달과정
[과제 제출]
2차시. 색채와 미술치료(2)
[강의목표]
1. 색채의 상징과 색채별 심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색채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작품에 나타나는 색채 심리를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색채의 상징과 색채별 심리
2.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 기법
3. 작품에 나타나는 색채 심리
6 1차시. 미술치료 진단기법(1)
[강의목표]
1. 심리진단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투사적 그림 검사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HIP 진단법의 실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심리진단기법에 대한 개념 이해
2. 투사적 그림 검사의 이해
3. HTP 진단법의 실시
2차시. 미술치료 진단기법(2)
[강의목표]
1. HTP 그림검사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2. KFD 동적 가족화의 실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KFD 동적 가족화의 해석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HTP 그림검사의 해석
2. KFD 동적 가족화의 실시 방법
3. KFD 동적 가족화의 해석
7 1차시. 미술치료에서의 승화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의 승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승화가 일어나는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3. 승화의 과정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에서의 승화의 개념
2. 승화가 일어나는 배경
3. 승화의 과정과 확인 방법
2차시. 미술치료에서의 전이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 나타나는 전이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에서의 전이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3. 미술치료에서의 전이를 어떻게 다루는지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에서의 전이의 개념
2. 미술치료에서의 전이 이론
3. 미술치료에서의 전이 다루기
8 중간고사
* 시험범위 : 1주차~7주차
[정기 시험]
9 1차시. 미술치료의 계획과 진행(1)
[강의목표]
1. 미술치료의 계획을 위한 의뢰와 면담, 치료의 구조화 이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실의 환경조건을 이해하고, 일지 기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미술치료 진행에 필요한 미술치료사로서의 자질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의 계획을 위한 의뢰와 면담, 치료의 구조화 이해
2. 미술치료실의 환경조건과 일지 기록 방법
3. 미술치료의 진행에 필요한 미술치료사의 자질
2차시. 미술치료의 계획과 진행(2)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의 내담자에 대한 평가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2. 미술치료 목표의 설정을 계획할 수 있다.
3. 미술치료의 기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합한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미술치료에서의 내담자에 대한 평가
2. 미술치료 목표의 설정
3. 미술치료에서의 기법 결정
10 1차시. 유형별 미술치료
[강의목표]
1.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의 이해
2.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의 이해
3.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의 이해
2차시. 연령별 미술치료 대상에 대한 이해
[강의목표]
1. 아동 미술치료 시, 대상인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 미술치료 시, 대상인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 시, 대상인 성인 및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동 미술치료 대상의 이해
2. 청소년 미술치료 대상의 이해
3. 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 대상의 이해
11 1차시. 미술치료 기법(1)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꼴라쥬 기법의 기원과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꼴라쥬 미술치료기법의 특성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3. 꼴라쥬 미술치료기법의 실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꼴라쥬 기법의 기원과 의미
2. 꼴라쥬 미술치료기법의 특성
3. 꼴라쥬 미술치료기법의 실시 방법
[쪽지시험 응시]
2차시. 미술치료 기법(2)
[강의목표]
1. 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풍경구성법(LMT)의 실시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풍경구성법(LMT)의 상징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3. 풍경구성법(LMT)의 유의점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풍경구성법(LMT)의 실시방법
2. 풍경구성법(LMT)의 상징과 의미
3. 풍경구성법(LMT)의 유의점
12 1차시. 미술치료 기법(3)
[강의목표]
1. 난화 기법의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난화 상호 이야기법과 난화 게임의 실시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난화 이야기법의 사례를 살펴 보고,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난화 기법의 발달과정
2. 난화 상호 이야기법과 난화 게임의 실시방법
3. 난화 이야기법의 사례
2차시. 미술치료 기법(4)
[강의목표]
1. 9분할 통합 회화법의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9분할 통합 회화법의 실시 방법과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9분할 통합 회화법의 사례를 살펴보고,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9분할 통합 회화법의 개념
2. 9분할 통합 회화법의 실시 방법과 특성
3. 9분할 통합 회화법의 사례
13 1차시. 아동 미술치료 사례
[강의목표]
1. 아동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대상을 이해하고 호소내용을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아동 미술치료에서의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3. 아동 미술치료에서 고려할 다양한 치료적 개입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아동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사유와 평가
2. 아동 미술치료 사례의 목표 설정
3. 아동 미술치료 사례의 치료적 개입방법
[토론 제출]
2차시.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
[강의목표]
1.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대상을 이해하고 호소내용을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 미술치료에서의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3. 청소년 미술치료에서 고려할 다양한 치료적 개입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사유와 평가
2.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의 목표 설정
3.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의 치료적 개입방법
14 1차시. 성인 미술치료 사례
[강의목표]
1. 성인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대상을 이해하고 호소내용을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성인 미술치료에서의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3. 성인 미술치료에서 고려할 다양한 치료적 개입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성인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사유와 평가
2. 성인 미술치료 사례의 목표 설정
3. 성인 미술치료 사례의 치료적 개입방법
2차시. 장애인 미술치료 사례
[강의목표]
1. 장애인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대상을 이해하고 호소내용을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장애인 미술치료에서의 치료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3. 장애인 미술치료에서 고려할 다양한 치료적 개입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의세부내용]
1. 장애인 미술치료 사례의 의뢰사유와 평가
2. 장애인 미술치료 사례의 목표 설정
3. 장애인 미술치료 사례의 치료적 개입방법
15 기말고사
* 시험범위 : 9주차~14주차
[정기 시험]
닫기